컨텐츠 바로가기

01.03 (금)

"가을 트렌치코트 안 팔려요"…패션도, 관광도 가을특수 사라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겨울의 시작을 알린다는 절기상 입동을 하루 앞둔 지난 6일 오후 도심 속 단풍 명소로 알려진 부산 해운대구 APEC나루공원에 아직 단풍이 제대로 물들지 않은 모습이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년 환절기가 되면 옷을 새로 장만했던 직장인 권모(31)씨는 이번 가을엔 따로 쇼핑을 하지 않았다고 했다. 10월까지 더위가 이어지다 보니 간절기 옷을 구매할 타이밍을 놓쳐서다. 권씨는 “지난해에 샀던 가을용 트렌치코트도 몇 번 입어보지 못했다. 이젠 사계절 중 여름과 겨울만 남은 것 같다”고 말했다. 패션 회사에서 8년째 일하고 있는 백모(31)씨는 “원래 9월부터 후드·스웨터 같은 간절기 상품이 나가야 하는데 두 달 내내 단가가 낮은 반팔 티만 팔았다”며 “이번 달부턴 바로 겨울옷 판매가 시작돼 가을 특수를 놓쳤다”고 말했다.

가을철에 접어들면서 소비 활력이 되살아날 것으로 기대했던 관광·의류업계가 울상이다. 올해 이례적으로 늦더위가 이어지면서 기대 이하의 성적이 나오고 있어서다.



짧아진 환절기, 의복 구매 안 한다



중앙일보

김영옥 기자


11일 통계청의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3분기 ‘의복’ 관련 거래액은 4조5123억원으로 1년 전보다 2.1% 감소했다. 3분기 기준 거래액이 감소한 건 팬데믹이 전 세계를 강타한 2020년(-0.7%) 이후 처음이다. 정은정 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 과장은 “경기 침체 영향도 있겠지만, 평년보다 기온이 높아 환절기 의류 구매 욕구가 떨어진 것이 주효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9월 전국 평균 기온은 24.7도로, 평년보다 4.2도 높았다. 전국에 기상관측망을 확충한 1973년 이후 52년 만에 가장 더웠다. 10월 전국 평균 기온도 평년(14.3도)보다 1.8도 높은 16.1도로 역대 두 번째로 높았다.

패션·의류업계 실적도 좋지 않다. 삼성물산 패션 부문은 3분기 매출이 433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5%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10억원으로 36.4% 줄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3분기 매출은 2960억원으로 6.3% 줄었고, 영업이익은 21억원으로 65.4% 감소했다. 한섬은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142억원, 60억원이었다. 작년 동기보다 3%, 31.4% 감소했다. 한섬 측은 “소비심리 위축이 장기화되고 있는 데다, 이상 고온 현상에 따른 가을·겨울 시즌 아우터 판매 둔화로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패션·의류업계는 4분기에 역대급 한파가 예보된 점을 위안으로 삼고 있다. 상대적으로 단가가 높은 겨울철 옷이 많이 팔릴 경우 실적을 만회할 수 있어서다.



늦더위에 나들이객도 지난해만 못 해



관광업계에선 10~11월까지 이어진 더위에 단풍 절정기가 미뤄져 손해가 크다. 단풍 명소인 광주 북구 무등산 인근에서 9년째 펜션을 운영 중인 조모(33·전남 담양)씨는 “1년 전보다 숙소 예약이 20% 줄었다. 통상 10~11월 초가 단풍 절정인데 입동(7일)이 지난 지금도 무등산을 올려다보면 절정이란 느낌이 없다”고 말했다. 지난달 25~27일 대구에선 팔공산 단풍 축제가 열렸지만, 당시 단풍이 들지 않아 ‘단풍 없는 단풍 축제’가 됐다. 지난 5일 기상청의 유명 산 단풍 현황을 보면 전국 21개 산에 모두 단풍이 들긴 했지만, 절정에 이른 산은 절반인 11곳에 불과했다. 절정은 산의 80%에 단풍이 들었을 때를 말한다. 조씨는 “11월 들어 예약이 늘고 있긴 하지만 10~11월 매출 감소분을 상쇄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다른 축제도 비상이 걸렸다. 지난달 3~6일까지 열린 '봉화송이축제' 때는 늦더위로 버섯 작황이 좋지 않아 10곳의 판매 업체만 참여했다. 지난해(23곳)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전남 신안군은 올해 아스타 꽃 축제를 취소했다. 아스타 국화는 서늘한 기후에 개화하는데 폭염이 가을까지 이어지면서 꽃이 다 죽었기 때문이다.

외식업계의 타격도 적지 않다. 가을까지 고수온 현상이 이어지면서 꽃게와 전어, 갈치 등 제철 수산물의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어서다. 가격이 급등하면서 재료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손님이 줄어드는 악순환이다. 올여름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로 여름배추 가격이 폭등하면서 김치 수급도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이른바 '기후플레이션'은 한국이 다른 나라보다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보고서에서 "한국은 일부 수입 품종 외에 대부분 농산물을 국내 수급에 의존해 농산물 수입 개방도가 높은 국가에 비해 이상기후로 농산물 작황에 가격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상기후가 앞으로 실물 경제에 최대 복병으로 자리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한국은행이 지난 8월 발간한 ‘이상기후가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이상기후로 인해 산업생산의 성장이 저하되고 공급 차질을 불러 물가를 끌어올리는 등 ‘기후인플레이션’을 유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2001년부터 2023년까지 이상기후 충격은 산업생산 증가율을 12개월 후 0.6%포인트가량 하락시켰고, 2020년 이후 이상기후가 인플레이션을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상기온은 이젠 단기적 문제가 아니라 장기적 문제다. 정부가 장기적 플랜을 가지고 대비책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세종=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