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몇 장만 갖고도 합성해
납치 사기·협박 범죄에 악용
전문가 "SNS 계정 공개 위험"
피해 늘며 경찰도 '주의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딥페이크 범죄의 공포가 일상 속으로 파고 들면서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하거나 아예 폐쇄하는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어린이집을 다니는 자녀 2명을 둔 30대 여성 이모 씨는 최근 누구나 볼 수 있던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친구 공개로 최근 제한했다. 카카오톡도 상대에 따라 각기 다른 프로필 사진을 보여줄 수 있는 '멀티 프로필'로 바꿨다. 공개 대상도 지인 중에서도 믿을 만한 사람들 위주로만 선정했다.
이 씨는 "소셜미디어(SNS)에 올렸던 아이들 사진이 딥페이크 범죄에 악용될까 봐 마음에 걸렸다"며 "주변에도 사진을 비공개하는 사람들이 하나둘 늘어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딥페이크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이제는 실제에 가까운 자녀의 얼굴이나 목소리를 활용해 부모에게 심리적 압박을 가하는 범행 우려가 커진 탓이다.
지난달엔 딥페이크 영상을 이용한 납치 협박 사건이 실제로 일어났다. 외국인 A 씨는 한국을 여행하던 딸이 감금된 채 울면서 "살려달라"고 하는 영상을 받았다. 상대방은 돈을 보내라고 협박했지만 딸은 안전했고 영상은 가짜였다.
경찰청은 지난 7일 이러한 사건을 공개하면서 SNS 전체 공개 설정을 지양해야 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SNS에 올린 사진 몇 장이나 영상 1∼2개를 갖고도 딥페이크 영상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며 "SNS 전체 공개가 위험해진 시대가 됐다"고 경고했다.
딥페이크 범죄는 상대방을 가리지 않고 곳곳으로 침투하고 있다.
이달 들어 서울, 부산, 대전 등 전국 각지에서 남성 지방의원들이 딥페이크 불법 합성물이 담긴 협박성 메일을 받기도 했다.
딥페이크 범죄에 경종을 울렸던 10대 학생이나 교사를 상대로 한 성 착취물 피해도 현재 진행형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 1일까지 딥페이크 허위 영상물 피해 학생은 883명에 달했다. 교원 피해자도 33명으로 집계됐다.
현직 교사들은 "카카오톡 프로필에 자식이나 배우자 얼굴도 올리면 안 된다", "SNS도 모두 비공개로 돌리거나 삭제해야 한다" 등의 '자구책'을 공유하기도 했다.
박동휘 기자 slypdh@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