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5 (목)

이슈 로봇이 온다

정의선·아키오 '레이싱 의기투합'… 수소차·로봇 동맹으로 밀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27일 경기도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현대N×도요타 가주 레이싱 페스티벌'에 참석한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가운데)과 조현범 한국앤컴퍼니그룹 회장(왼쪽)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행사를 관람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 N × 도요타 가주 레이싱 페스티벌' 행사를 기점으로 현대차그룹과 도요타자동차가 모터스포츠 분야뿐 아니라 수소에너지·로봇·전고체 배터리 등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미래 산업 분야에서의 협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27일 자동차 업계는 내다봤다.

가장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는 두 회사가 글로벌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수소차 시장이다. 현대차는 상용차 시장을 중심으로 수소연료전지차 판매 대수 글로벌 1위 자리를 확보하고 있다.

특히 현대차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 중 유일하게 수소연료전지 트럭을 양산하고 있다. 현대차의 수소트럭 '엑시언트 FCEV'는 이미 스위스에서 누적 1000만㎞를 기록하는 등 실주행 데이터를 확보했다. 또 미국 조지아주에 설립한 새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물류 업무에 수소연료전지 트럭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운행 데이터를 쌓으며 기술 고도화에 나서고 있다.

도요타는 수소차 관련 특허에서 현대차를 앞선다. 특허 업계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으로 도요타는 미국과 중국, 일본 등 글로벌 시장에서 수소차 관련 특허 2만2000여 개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수소차 특허의 20%에 해당하는 숫자다.

양사가 협력할 경우 큰 시너지가 예상된다. 올해 상반기 기준 글로벌 수소차 시장에서 현대차(32.7%)와 도요타(22.8%)의 점유율을 합치면 55.5%에 이른다. 두 회사가 이미 보유하고 있는 운행 데이터와 특허 기술에 독보적인 점유율까지 활용할 수 있다면 수소충전소 등 인프라 활성화는 물론 아직 뚜렷한 리더가 보이지 않는 수소에너지 기술표준 제정 작업을 이끌어갈 수도 있다.

매일경제

27일 경기도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현대N×도요타 가주 레이싱 페스티벌'에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왼쪽)이 쇼런을 앞두고 도요다 아키오 도요타자동차그룹 회장이 운전하는 경주 차량에 탑승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현대차와 도요타의 협력은 양사의 수소에너지 네트워크를 연결해 중국 자동차 브랜드의 수소차 시장 진출을 견제하는 의미도 있다. 현대차는 GM그룹, 폭스바겐그룹 산하 스코다 등과 수소 동맹을 맺고 있다. 도요타는 독일 BMW그룹과 수소전기차 개발 제휴를 맺은 상황이다. 양사 간 협력이 성사되면 한국, 일본, 미국, 유럽을 잇는 '수소차 벨트'를 형성할 수 있다.

양재완 한국자동차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완성차 업체 중 수소연료전지차를 실용화해 판매하고 있는 곳은 사실상 현대차와 도요타뿐인 상황"이라며 "협력할 경우 수소차 시장의 전체 파이를 키우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로봇 분야의 시너지도 기대된다. 현대차그룹의 자회사인 보스턴다이내믹스는 지난 17일 도요타리서치연구소(TRI)와 "인공지능(AI)과 로봇공학을 공동 연구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냈다. 두 회사는 구체적 협력 목표로 "보스턴다이내믹스의 휴머노이드 '아틀라스'와 TRI의 '대규모행동모델(LBM)'의 전문 지식을 활용해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가속화"를 제시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스턴다이내믹스는 휴머노이드 아틀라스의 2세대 버전인 '올 뉴 아틀라스'를 지난 4월 공개했다. 이 모델은 보다 인간에 가까운 외모를 갖췄다. 이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휴머노이드가 채용하고 있는 유압식 구동 방식을 보다 정교한 움직임이 가능한 전기식으로 전환해 주목을 받았다.

도요타 TRI는 휴머노이드의 '두뇌' 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TRI가 개발한 LBM 시스템은 챗GPT와 같은 대규모언어모델(LLM)의 모빌리티 버전에 해당한다. 로봇의 움직임 하나하나를 따로 프로그래밍할 필요 없이, 로봇이 직접 여러 활동의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 적합한 행동 방식을 학습하는 시스템이다.

현대차의 하드웨어와 도요타의 소프트웨어를 결합할 경우 이 분야에서 한 발 앞서 있는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옵티머스를 견제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AI와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AI 기술을 자율주행차 개발에 적용시킬 수도 있고, 휴머노이드 로봇을 자동차 공장에 사람 대신 투입해 비용을 절감하는 게 가능하다.

차세대 배터리로 각광받는 전고체 배터리 분야에서의 기술 협력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전고체 배터리는 에너지 저장 밀도가 기존 배터리에 비해 높은 데다 화재 위험성도 없는 배터리다.

도요타는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전기차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도 2030년 양산차에 전고체 배터리를 적용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2021년 미국 솔리드에너지시스템에 투자, 2022년 배터리개발센터 출범 등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박제완 기자 / 한창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