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4 (월)

따뜻해진 동해… 명태 이어 오징어도 사라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이 지난 56년간 1.44도나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지구 평균의 2배에 이르는 수치다. 특히 명태에 이어 오징어마저 고갈 위험에 처한 동해는 같은 기간 수온이 1.9도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립수산과학원의 ‘2024 수산 분야 기후변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1968∼2023년 56년간 전 지구 표층 수온이 0.7도 오르는 사이 한국 해역의 표층 수온은 1.44도 상승했다.

세계일보

강원 삼척시 정라동 삼척항의 한 건어물 업체에서 오징어를 말리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표층 수온 상승 폭은 동해가 1.9도로 가장 컸으며 서해 1.27도, 남해 1.15도 순이었다.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이 가파르게 오른 것은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 강화 등 우리나라 주변을 둘러싼 대규모 기단들의 변화가 극심한 데다 저위도에서 오는 따뜻한 해류의 열 수송도 많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동해의 경우 북부 해역은 찬물이고 남부 해역은 따뜻한 물인데, 온난화 효과로 찬물과 따뜻한 물의 경계선이 점차 북쪽으로 이동해 수온 상승이 빠르게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원인으로 동해에서는 과거 ‘국민 생선’으로 불리던 명태의 씨가 마르고 오징어는 어획량이 급감했다. 명태는 연간 어획량이 1980년대에는 10만t이 넘었지만 2007년 이후 1∼2t에 불과할 정도로 희귀해졌다가 2019년부터 어획이 전면 금지돼 러시아산에 의존한다.

해양수산부가 2014년부터 고갈된 명태 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수정란을 부화해 키운 어린 명태를 바다에 푸는 '명태 살리기 사업'을 하고 있지만 10년이지나도록 이렇다 할 성과는 없다. 오징어도 2000년대에는 연평균 20만t 정도 잡히다가 지난해에는 역대 최저인 2만300t까지 줄었다.

수온 상승은 어장 지도를 바꾸고 있다. 우리나라 연근해 어업 생산량은 1980년대 평균 151만t 수준에서 2000년대 116만t으로 급감했고 2020년대에는 93만t으로 지속해 감소하는 추세다.

수산과학원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대부터 살오징어 어획량이 급감했고 멸치와 고등어도 감소하거나 정체 상태다. 반면 주요 난류성 어종인 방어, 전갱이, 삼치는 지난 40년간 어획량이 꾸준히 증가했다.

수산과학원은 제주 연안에서 수온 상승에 따라 아열대성 어종의 종수, 개체수, 밀도 모두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미 제주도 내 수산물 시장에서 아열대 어종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는 국립수산과학원이 표층 수온을 관측하기 시작한 1990년 이래 우리나라해역의 연평균 수온이 가장 높은 해였다. 우리나라 앞바다는 앞으로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