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건설원가전쟁]"지을수록 적자" 중견건설, 원가율 관리 '빨간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웨이

기사내용과 무관.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웨이 장귀용 기자]

건설사들이 높아진 공사비에도 웃지 못하고 있다. 급등한 공사비로 인해 수주현장이 줄고 발주처와의 갈등도 늘었지만, 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 탓에 건설사가 가져가는 이윤은 오히려 줄어든 탓이다.

금호건설과 신세계건설, 동부건설이 공사를 하고도 손해를 본 건설사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다.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금호건설과 신세계건설, 동부건설의 원가율은 각각 102.6% 102.3%, 101.5%를 기록했다. 매출액보다 원가가 더 높은 적자공사를 한 셈이다.

급기야 신세계건설의 모회사인 이마트는 신세계건설의 상장폐지 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30일부터 오는 29일까지 30일간 신세계건설 주식에 대한 공개매수를 추진 중이다. 이마트가 가진 보통주 546만8천461주(70.46%)와 신세계건설 자사주 17만1천432주(2.21%)를 제외한 나머지 주식 전부가 대상이다. 업계에서는 상장폐지 후 고강도 구조조정을 통해 인건비를 줄이는 고육지책을 펼 것으로 보고 있다.

다른 건설사들도 높아진 원가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리조트부문과 패션부문을 함께 집계하는 삼성물산을 제외한 10대 건설사들의 지난 상반기 평균 매출원가율은 92.4%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통상 건설업계에선 원가율이 80%대로 유지돼야 안정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고 본다.

업계에선 최근 급격히 늘어난 공사비 갈등도 원가 부담 탓이 크다고 입을 모은다. 원가에 해당하는 자재비용‧인건비용‧금융비용이 모두 오른 탓에 공사비가 올랐고, 이 과정에서 건설사는 오히려 손해를 봤다는 것.

실제로 건설사들의 영업이익률은 전년과 비교해서 크게 줄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이번 3분기 현대건설의 매출을 8조1889억원, 영업이익은 1706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액은 4.2% 늘어나고 영업이익은 30.1% 줄어든 수치다. 현대건설 외에 DL이앤씨, 대우건설 등 상장 건설사들 다수가 영업이익률이 전년에 비해 줄어들 전망이다.

관건은 원가를 끌어올린 자재비와 인건비, 금융비용의 추이다. 자재비와 인건비는 여건이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그나마 금융비용은 미국의 '빅컷' 이후 하향안정화에 대한 기대감이 생기고 있다.

인건비는 원가부담 급등의 주요원인으로 꼽힌다. 건설현장 시중 노임은 2020년 1월 20만9000원에서 2024년 26만2000원으로 25.3% 올랐다. 여기에 ▲주52시간제 도입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 ▲오후 5시 이후 콘크리트 타설 금지 ▲층간소음 보완시공 의무화 등으로 공사기간이 늘어난 것도 인건비 증가에 일조했다. 공사기간이 늘어나면서 근로자 사용일이 늘어나고 관리비용도 늘어난 탓이다.

자재비 관련분야에선 건설의 주재료인 철근과 시멘트가 모두 말썽이다. 지난 6월까지 14개월 연속 하락하던 철근가격은 8월부터 이번 달까지 세 달 연속 인상을 이어갔다. 생산업체가 감산조치로 가격방어에 나선 탓이다. 4년 간 약 49.3% 끌어올린 시멘트가격은 추가인상을 하려는 시멘트업계와 중국산 시멘트수입 카드를 내민 정부 간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다.

그나마 금융비용은 햇볕이 드는 모양새다. 지난해 말까지 지속적으로 오름세를 보였던 각종 금리가 올해 들어 조금씩 내려오고 있어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보증부대출금리를 살펴보면 CD금리는 지난해 10월 3.82%까지 올랐다가 올해 5월 3.60%로 내렸다. 보증부대출금리는 같은 기간 5.80~5.90%에서 5.40%로 떨어졌다. 업계에선 올해 하반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금리가 하향안정화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높은 공사비에 적응하는 '뉴노멀'에 맞춘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전직 건설사 고위임원 A씨는 "해외건설현장에선 품질향상과 공사비 절감을 위해 설계와 시공, 재료 등에 대해 검토‧분석하는 VE(가치공학)가 필수적인 분야로 자리 잡고 있고, 시장 규모도 크다"면서 "이제 국내 건설시장도 전문적인 시스템이 도입돼야 한다고 본다"고 했다.

장귀용 기자 jim332@

저작권자(c)뉴스웨이(www.newsw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