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7 (금)

[MBK, 고려아연 적대적 기업사냥 논란②] 中 자본에 재매각 가능성?… 경영권 분쟁의 또 다른 뇌관 '국부유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풍·MBK측 주당 공개매수가격 66만원→75만원으로 상향… 경영권 분쟁후, 투자금 회수위해 재매각 우려 커져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려아연 경영권, 중국 기업 등에 재매각할 경우 놓고, 2차전지 등 관련업계도 촉각

- 고려아연측 산업통상자원부에 2차전지 소재 특허 기술을 '국가핵심기술' 판정 요청

- 사모펀드 특성상 '고려아연 경영연속성'에 대한 시장 의문 지속

[디지털데일리 최천욱 기자] 결국 누군가는 쓰러져야 끝나는 '돈의 전쟁'으로 흐르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론 두 공동 창업자 집안간의 경영권 분쟁이 격화될 수록 그에 따른 후폭풍도 이제는 매우 심각하게 걱정해야할 상황이 되고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26일 증권 당국에 따르면, 당초 영풍과 MBK파트너스는 당초 자신들이 제시했던 고려아연 공개매수가격을 기존 주당 66만원에서 주당 75만원으로 13.6% 인상키로하고 관련 정정신고서를 금융감독원에 제출했다.

현재 거래되고 있는 고려아연의 주가가 당초 제시했던 공개매수가격보다 높아져 장내매수를 통한 M&A 불확실성이 커지는 것을 막고, 동시에 경영권 방어 세력을 금전적으로 더욱 압박하기위한 것으로 보인다. 쉽게말해 '돈의 전쟁을 해보자'는 것이다.

영풍과 MBK파트너스측이 공개매수가격을 75만원으로 높이게되면, 당연히 그에 따른 실탄(주식매수금액)의 규모도 그만큼 늘어날 수 밖에 없다. 단순 계산으로도 당초 2조원 규모의 실탄이 2조3000억원 선을 훌쩍 넘기게 되는 것이다.

고려아연의 25일 종가는 70만4000원이며, 26일 오후 1시10분 기준 전일대비 0.99% 오른 71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로서는 가만히 앉아서 주가 오르는 것을 감상하기만하면되는 소위 '꿀잼'각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론 재미로만 '전(錢)의 전쟁'을 지켜보는 것은 어쩐지 뒷맛을 걱정하게 한다.

M&A를 위해 이렇게 막대하게 투자된 돈은 결국 어떤식으로든 회수해야하고, 또한 수익을 남겨 재매각하고 떠나는 것이 MBK와 같은 사모펀드의 일반적인 속성이기 때문이다. 수익 실현이 목적인 사모펀드에게 고려아연의 경영지속성까지 기대할 수 없다.

그런데 또 다른 논란의 핵심은 여기에 있다.

즉, MBK파트너스가 수익 실현을 위해 확보한 고려아연 경영권을 언젠가는 누군가에게 재매각할 경우다.

관련업계 일각에선 고려아연의 기업 특성과 시장내 위치를 고려했을때 국내에선 마땅한 인수자를 찾기 어려우며, 결국 글로벌 소재 산업에 막대한 자본을 쏟아붇고 있는 중국 자본에 매각할 가능성이 높다는 시나리오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고려아연을 중국 등 해외기업에 매각했을 경우, 핵심기술및 인재가 해외로 빠져나가는 국부유출 논란이 1차적이다. 또한 그것을 차치하고라도, 기존 고려아연과 비즈니스 관계를 맺고 있는 2차 전지를 비롯한 국내 수많은 비즈니스 관계를 맺고 있는 기업들까지 경영의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MBK파트너스, 고려아연을 중국 자본에 재매각?… 정치권 등 우려 쏟아져

실제로 이같은 우려는 이번 고려아연의 경영권 분쟁 과정을 지켜봐왔던 정치권에서 먼저 심각하게 제기됐다.

박희승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7일 보도자료를 내고 “MBK파트너스가 중국계 자본을 등에 업고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를 시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며 “자칫 중국 자본과 관련 기업들이 고려아연을 인수할 경우 세계 1위 기업의 독보적인 기술들은 해외로 유출되고 핵심인력들의 이탈도 가속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고려아연측도 2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자사의 2차전지 소재 관련 하이니켈 전구체 가공 특허 기술을 '국가핵심기술'로 판정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경영권 분쟁의 결과에 따라 중국 매각이 현실화될 수 있는 시나리오라고 보고, 고려아연측에서 핵심기술 유출을 막기위한 방어막을 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되면, 해당 기업을 외국인이 M&A할 경우 산자부 장관의 승인 또는 신고를 해야한다. 이렇게 될 경우 MBK파트너스의 투자금 회수 전략 시나리오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아연측이 고려해 반격한 것이란 평가다.

◆고려아연 사업장 위치한 지역정가에서도 'M&A 후폭풍'에 촉각

한편 이와 별개로, M&A시장에서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MBK파트너스의 '적격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현재 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국민연금법 일부 개정법률안도 국회를 통과할 경우, MBK파트너스에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지난 7월 박희승·김영진·정준호·한정애·서영교 등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 의원 11명은 국민연금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운용을 강제해야 한다는 내용의 국민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될 경우 당국으로부터 과징금을 받은 운용사는 국민연금출자를 받을 수 없게 된다.

국민연금은 올해 1조원 규모의 PEF 위탁운용사 중 한 곳으로 MBK파트너스를 선정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의원들은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뒤 구조조정을 단행해 직원들의 피해를 유발하고, BHC를 인수한 후에는 가맹사업법 위반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을 부과받은 점을 문제삼아 위탁 선정을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밖에 앞선 보건복지위 전체회의에선 일부 민주당 의원들이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을 향해 MBK파트너스의 운용사 선정에 대한 소명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이번 M&A의 결과에 따라 후폭풍이 예상됨에 따라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지역 정가도 들썩이고 있다.

고려아연의 사업장이 소재한 울산 울주군이 지역구인 국민의힘 서범수 국회의원과 이순걸 울주군수, 홍성우 김종훈 울산시의원, 최길영 정우식 김상용 이상걸 김영철 박기홍 노미경 울주군의원은 지난 2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고려아연과 영풍의 경영권 분쟁에 MBK파트너스까지 가세하면서 고려아연 경영권을 둘러싼 갈등이 지역사회를 흔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기업 M&A 이후, 후유증을 극복하고 정리하는데 있어 깊은 상처를 남기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 때문에 미국의 경우 2019년 사모펀드의 약탈적 이익추구를 방지하는 '약탈금지법'을 제정해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국내에선 대표적으로 쌍용자동차의 해외자본 M&A 사례를 들 수 있다. 외국자본인 상하이차와 인도 마힌드라에 인수된 이후, 기술 유출 논란과 함께 대규모 정리해고가 강행돼 노동자들의 거센 저항이 이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30명의 노동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아픈 생채기를 남긴 바 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