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19일(현지시간) 러시아 군인이 우크라이나의 모처에서 드론을 발사하고 있다. 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크라이나 정부에서 재무 분석가로 일하는 블라디슬라브 립코는 저녁과 주말엔 친구들과 함께 무인기(드론)를 만든다. 러시아군과 싸우고 있는 우크라이나군을 위해 일하는 일종의 자원봉사다. 부품은 크라우드 펀딩으로 모금한 돈으로 구입하거나, 아예 친구들이 3D프린터로 제작하기도 한다.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는 “우크라이나에선 500여 소규모 업체·자원봉사자모임이 한 달에 수십만 대 드론을 만들어 군대에 공급한다”고 전했다.
#러시아 국영방송 RT(옛 러시아 투데이)는 소셜미디어로 대규모 크라우드 펀딩을 한다. 이렇게 모금한 돈으로 우크라이나 전선의 러시아 부대에 드론 등을 전달하고 있다. 미국 국무부는 RT 부편집장 안톤 아니시모프가 이런 ‘작전’을 관리했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국가 지원을 받던 선전 매체가 군조달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정보기관으로 변신했다는 설명이다.
2년 넘게 전쟁을 치러온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모두 드론 확보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과거와 달리 드론이 전장의 주역으로 부상하면서 생긴 현상이다.
7일 러시아 트로페츠에 있는 미사일 창고 모습(왼쪽). 18일 우크라이나군이 보낸 100여 대의 드론으로 폭발한 해당 창고 모습(오른쪽). 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러시아의 지상 드론 '개구리'. 사진 홈페이지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지방 마을, 자선재단도 드론 자금 모금
정부도 관련 법과 규정을 바꿔 민간의 드론 생산을 장려하고 있다. ▶드론 부품에 대한 부가가치세와 수입 관세를 면제하고 ▶인증받는 데 소요되던 기간을 줄이고(3~5년→2~3개월) ▶무기 제조업체의 이익 상한선(연간 3% 이상 수익)을 없앴다.
그 결과 전쟁 전 소수 업체가 농업용 드론을 만들고 있었던 우크라이나에서 ‘드론 혁명’이 일어났다는 평이다. 전쟁 초기엔 정찰용 드론이 주로 생산됐지만, 이젠 공격용 드론 개발도 활성화됐다.
11일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지역의 한 마을에서 우크라이나 정보부대 소속 군인이 공격 드론을 운용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최대 2kg의 폭발물을 탑재할 수 있도록 드론을 개조해 진군하는 러시아군에게 원격으로 투하할 수 있다고 밝혔다. EPA=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500㎞ 이상 날아가는 ‘미사일 드론’ 개발?
요즘 가장 인기 있는 제품은 7~10인치(14~24cm) 길이의 소형 자폭 드론이다. 거의 모든 최전방 부대에서 사용하고 있는데, 숙련된 조종사는 하루 최대 15대까지 출동시킨다. 현재 우크라이나산 드론은 최대 30피트(약 9m) 너비 날개의 소형 비행기부터 지뢰를 제거하고 전투를 수행할 수 있는 자율 주행 차량인 지상 드론, 해상 드론까지 다양하다.
우크라이나는 지난달엔 러시아 깊숙한 곳을 공격할 수 있는 새로운 제트 추진 드론(팔랴니차)을 처음 실전에 투입했다. 당국은 이 ‘미사일 드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으나 CNN은 기존 최대 1500㎞이던 드론의 비행 범위를 넘어섰다고 전했다.
10일 모스크바 지역 라멘스코예에서 드론 공격으로 인해 손상된 주거용 건물.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차준홍 기자 |
━
푸틴이 ‘속도전’ 지시한 까닭은
러시아도 드론 공급에 열을 올리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9일 올해 드론 생산량을 지난해보다 약 10배 늘어난 140만 대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2030년까지 드론 제조 시설 48개를 추가로 설립하겠다고도 했다.
푸틴 대통령은 “전장의 요구에 더 빨리 대응하는 쪽이 승리한다”며 ‘속도전’을 강조했다. 전날 우크라이나군 드론이 524억원어치 러시아 무기고를 초토화한 뒤 나온 발언이다. 푸틴의 이날 발언을 두고 중국산 드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노력이란 해석도 나온다. 앞서 미 국무부는 러시아가 정찰드론을 비롯한 장비 일부를 중국에서 조달했다고 발표했다.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특수 기술 센터의 드론 생산 시설을 방문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이란 드론, 중국 장비 의존 벗어날까
러시아가 특정 자폭 드론(가르피야-A1)을 중국 기업으로부터 엔진과 부품을 공급받아 제조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지난 13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비행거리가 최대 1500㎞에 이르는 이 장거리 공격용 드론은 러시아 국영 방위산업체의 자회사가 지난해 7월~올해 7월에 2500여 대를 생산했는데, 과거엔 독일 기업이 설계·제조했던 엔진을 지금은 중국 현지 업체가 생산하고 있다.
미국 싱크탱크인 신미국안보센터의 새뮤얼 벤뎃 선임연구원은 “러시아가 중국산 부품으로 이런 드론을 만든 게 사실이라면 이란의 장거리 드론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러시아는 개전 초기부터 이란산 샤헤드 자폭 드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왔다. 러시아군이 지난 2년간 우크라이나에 날려 보낸 이란제 샤헤드 드론이 8060대라는 우크라이나 측 조사 결과도 나왔다. 최근엔 모스크바에서 동쪽으로 약 800㎞ 떨어진 타타르스탄 공화국에 공장을 짓고 자체 제작한 부품으로 샤헤드 드론을 대량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7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키이우 공습이 진행되는 동안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에서 날아온 샤헤드 드론을 공중에서 요격하고 있다. 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백일현 기자 baek.ilhyu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