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8 (금)

中전기차 막아? 말아?…셈법 복잡해진 EU, 입장 갈렸다 [차이나테크의 역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 1월 중국 산둥성 옌타이항에서 비야디(BYD)의 전기차들이 수출용 선박 선적을 대기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섭게 침투하는 ‘중국산 전기차’를 막아야 할까, 받아들여야 할까. 각국의 셈법이 복잡하다. 미국·캐나다 등이 ‘관세 장벽’을 쌓아 자국 기업 보호에 나선 가운데, 비슷한 스텝을 밟던 유럽연합(EU)에선 파열음이 나오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은 독일이 EU의 중국산 전기차 고율 관세 추가부과에 대해 사실상 반대하는 입장을 내놨다고 보도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로베르트 하베크 독일 부총리(경제기후보호부 장관)는 방독한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에게 “중국 전기차의 추가 관세 부과에 찬성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EU는 중국산 전기차 관세율을 현행 10%에서 향후 5년간 최고 46.3%까지 상향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지난 7월부터 오는 11월까지는 임시조치로 잠정 상계관세를 부과해 최고 47.6%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EU는 이르면 오는 25일(현지시간) 상계관세 확정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관세 인상안이 가결되려면 15개 이상 회원국(전체 인구 65% 이상)이 찬성해야 하는데, 당초 예상과 달리 가결이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중앙일보

박경민 기자



앞서 관세 인상 반대 입장을 밝힌 스페인·이탈리아에 이어, ‘자동차 종주국’ 독일까지 사실상 중국의 편에 섰기 때문이다. 중국은 EU 개별 회원국을 접촉하며 관세인상을 저지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독일의 속내는 복잡하다. 얼핏 보면 폭스바겐·BMW·메르세데스-벤츠 등 자국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중국산 전기차의 침투를 막아야 할 것 같다. 하지만 이 기업들이 중국에서 현지 기업과 합작사를 설립해 사업을 벌이고 있는 만큼, 관세인상 시 손해가 더 클 수 있다.

그렇다고 중국에 진출한 독일 기업들의 안위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 구조조정 시작 분위기도 감지된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폭스바겐과 상하이자동차(SAIC)의 합작사가 중국 내 공장 중 한 곳의 운영 중단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이들이 이미 2년 전 중국 공장 한 곳을 중단했으며, 추가 폐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미 대륙은 관세장벽을 높이며 중국산 전기차 저지에 적극 나서고 있다. 미국·캐나다는 관세 100% 추가 부과를 추진 중이다. 자동차 산업의 중국 의존도가 높지 않고, 글로벌 시장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판단 때문이다.

브라질은 10%였던 관세를 지난 7월 18%로 인상했고, 2026년까지 35%로 인상할 예정이다. 브라질은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미주 생산기지로 주목받는 국가 중 한 곳으로, 자동차 산업을 키우려는 브라질의 야심이 작용한 결과다. 중국 창청(GWM)은 2021년 다임러의 상파울루 공장을 인수했고, 비야디(BYD)는 지난해 아시아 밖 첫 생산기지로 브라질을 낙점했다. 브라질 북동부 바이아주에 30억 헤알(약 7400억원)을 들여 전기차 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자국 내 경쟁 심화 탓에 수출로 눈을 돌리면서 중국발 글로벌 자동차 산업 구조 개편이 이미 시작됐다”라며 “중국 업체들은 진입하기 힘든 미국 대신 신흥국과 유럽에 집중할 가능성이 커, 이들 지역에서 한국·유럽 자동차와 중국 차의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선욱·고석현 기자 isotope@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