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원전, 재생에너지 등 무탄소에너지 발전 증가에 힘입어 온실가스 배출량이 2022년보다 4.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부터 2년째 감소세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2023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전년대비 4.4% 감소한 6억2420만톤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전환 부문에서 발전량이 전년 대비 1% 감소했다.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원전의 발전량이 4.4TWh(테라와트시) 늘고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 발전량도 3.5TWh 증가하면서 전환(전기·열생산) 부문 배출량이 7.6%(1650만톤) 감소했다.
산업 부문은 반도체·디스플레이 등의 공정가스저감시설 확대와 석유화학·시멘트 등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의 경기둔화로 인한 생산 감소로 전년대비 배출량이 3% 감소했다. 건물 부문도 따뜻한 겨울과 도시가스 요금 인상으로 인한 사용량 감소로 배출량이 전년에 비해 7% 감소했다.
수송 부문은 주행거리 감소 및 무공해차 보급 확대로 1%, 농축수산 부문은 벼 재배면적 감소 등 영향으로 0.1%, 폐기물 부문은 매립량의 지속적인 감소로 1.3% 등 소폭 줄었다.
이 같은 감소 추세는 지난해 7월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공개한 2022년 잠정배출량에 이어 2년째다. 2021년 코로나19 여파가 잦아든 후 경기회복의 영향으로 배출량이 일시 증가했지만 2022년 이후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의 정책이 효과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2022년부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매해 증가했음에도 배출량이 감소하는 탈동조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2023년 GDP 당 배출량은 199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312.8톤/10억원)을 보였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국제에너지기구 등 국제사회에서 공개된 통계 정보를 분석한 결과 2023년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 중국(+4.7%), 인도(+7%) 등 개도국은 증가하고 미국(-4.1%), 유럽연합(-9%), 독일(-10.1%), 일본(-2.5%) 등 선진국은 감소했다.
한편 2018년 파리협정의 세부이행지침에 따라 모든 유엔 기후변화총회 당사국은 '2006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산정 지침'을 적용한 온실가스 통계를 올해 연말까지 유엔에 제출해야 한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이 지침을 적용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재산정한 결과 우리나라의 배출량은 미국, 일본, 러시아 등 주요국의 사례와 비슷하게 최초 산정 시점인 1990년부터 2021년까지 모든 연도에서 배출량이 소폭 증가했다.
통계 개편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의 주요 요인은 에어컨, 냉매 등에 쓰이는 수소불화탄소(HFCs)다. 정부는 지구온난화지수(GWP) 값이 높은 물질의 사용을 제한하고 재생 냉매의 사용을 늘리는 등 HFCs 감축 방안을 마련해 올해 안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정은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는 긍정적이지만 심화되는 기후위기를 고려할 때 배출량을 더욱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최민경 기자 eyes00@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