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상 아이가 태어나고 어느 정도 자라 외출을 하게 되면서 이런 두려움이 과장되어 있었음을 알게 됐다. 아이와 함께 대중교통을 타면 선뜻 자리를 양보해 주고, 출입구에서 발 빠르게 문을 열어주는 분이 많다. 특히 어르신들은 “아가야!” 환하게 웃으며 반가워해 주신다. 아이를 키울 때 자신들의 경험을 떠올리는 듯 감상에 젖은 표정을 짓는 분도 많다. 이런 뜻밖의 환대는 아이가 태어나기 전엔 예상치 못했던 기쁨이다.
정작 놀랐던 건 따로 있다. 예컨대 아기 기저귀 갈이대가 대부분 여자 화장실에만 있다는 사실. 딸과 둘이 외출했다가 기저귀를 갈아야 할 때면 어떻게 해야 하나 걱정하게 된다. 부부가 함께 외출해도 결국 기저귀를 갈아야 하는 사람은 부득이하게 아내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금은 남녀가 모두 일하고, 육아 부담도 함께 나누는 시대다. 하지만 제도와 인식은 아직 현실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집안에 나날이 쌓여가는 유아용품에는 절반 이상에 ‘mother’ 혹은 ‘mom’ 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다. 아이를 키우는 사람은 ‘엄마’만이 아닌데 말이다.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은 육아 스트레스와 함께 ‘내가 충분히 잘하고 있는 걸까’ 매번 되돌아본다고 한다. 반면 아빠는 육아 스트레스는 느끼지만 엄마들처럼 ‘혹시 내가 나쁜 아빠일까’ 같은 죄책감까지는 느끼지 않는 듯하다. 이 역시 사회가 아기를 돌보는 것을 암묵적으로 엄마의 책임이라고 끊임없이 말하기 때문 아닐까. 아이를 위해 무언가를 하면 ‘도와주는’ 좋은 아빠라는 칭찬을 받는다. 이런 인식은 오히려 아빠들이 육아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남자는 돈을 벌고 여자는 아이만 돌보는 시대는 이미 끝난 지 오래다. 육아에 대한 인식도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다니엘 튜더 전 이코노미스트 한국 특파원·소설 ‘마지막 왕국’ 저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