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4 (토)

전국 자연환경 만족도 1위 '세종'...동식물 서식지 복원 1위 울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세종시가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자연환경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2년 연속 선정됐다.

울산은 동식물 서식지 복원 및 보전 활동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생태계서비스 대국민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결과를 28일 공개했다.

조사는 환경부와 생태원이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온라인을 통해 진행됐다. 해당 조사기관은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거주하는 성인 8163명 대상으로 지난 6월 10일부터 28일까지 조사했고 표본오차는 표본오차는 ±1.083%P(95% 신뢰수준)이다.

조사 결과 거주지 인근 자연환경에 만족하는 사람은 2명 중 1명(49%)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세종시(69%), 제주(63%), 경남(59%), 강원(58%), 전남(57%) 순으로 자연환경 만족도가 높았다.

세종시는 1인당 공원 면적(57.6㎡)이 가장 넓은 광역지자체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만족도 1위를 차지했다. 세종에 이어 제주, 경남, 강원, 전남 등 지난해 조사에서 만족도가 높았던 상위 5개 지역이 올해 조사에서도 5위권 안에 들었다. 지난해 5위였던 경남은 올해 3위를 기록했다.

뉴스핌

국립세종수목원 궁궐정원 모습 [사진=뉴스핌DB] 홍근진 기자 goongeen@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식물 서식지 복원 및 보전 활동 만족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울산(39%), 세종(39%), 제주(38%) 순으로 높은 평가가 나왔다. 환경부는 "울산의 경우 과거 오염된 태화강이 생태하천으로 되살아나 멸종위기종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게 됐다"며 "지난 6월 환경부 '이달의 생태관광지'로 선정되는 등 복원 및 보전의 성과가 나타나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생태계가 사람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뜻하는 '생태계서비스'에 대해서는 3명 중 2명이(66%) 용어를 들어 봤거나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 조사 결과(68%)와 비슷한 수준이다.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에 비해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이해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계서비스는 식량과 목재를 말하는 공급서비스, 온실가스 조절 등을 의미하는 조절서비스, 여가 및 휴양 혜택을 뜻하는 문화서비스, 생물 서식치 제공 등을 포함하는 지지서비스로 구성된다.

생태계서비스 중 거주지 인근에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공원·산림 등 자연공간 이용(21%)'이었고 '탄소 저감(19%)'도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시민들이 자연에서 휴식을 취하고 여가를 즐기는 문화서비스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조절서비스의 필요성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대구에서는 응답자 23%가 생태계서비스 중 '폭염 대응'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자연환경 방문 빈도를 묻는 질문에는 주 1회 이상 방문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66%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해 조사는 5월에 진행돼 주 1회 이상 방문비율이 85%에 달했는데, 올해는 조사를 6월에 실시했다"며 "무더위로 인해 야외 활동이 감소돼 방문 빈도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지난해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이상이 자연에 의존하고 있다고 할 만큼 생태계서비스는 우리 삶과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며 "생태계서비스의 유지·증진을 위한 생태계 보전 및 복원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기업 등 민간에서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을 위해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뉴스핌

울산 태화강 주변에 핀 코스모스 [사진=울산시] 2019.7.1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heep@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