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8.23 (금)

유력해진 美 금리인하 시나리오…9월부터 시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르면 오는 9월,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대에서 3%대로 하락하고, 고금리·고물가를 버티지 못한 기업들이 고용을 줄이면서 고용시장도 둔화하고 있어서다. 우리나라도 미국이 금리를 내리면 10월부터 인하시기를 조율할 전망이다.

16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확률은 100%로 집계됐다. 25bp(1bp=0.01%포인트) 인하할 확률은 88.7%, 50bp 인하할 확률은 11%다. 전날(15일) 오후까지만해도 25bp 인하할 확률은 88.7%로 동결확률은 11.3%를 기록했다. 제롬파월 연준의장이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이코노믹 클럽 대담에서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노동시장 열기가 식어가고 있다"며 "두 목표는 (전보다) 훨씬 나은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말하면서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영향이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美, 9월 금리인하 가능성

미국은 소비자물가가 하락하고, 고용시장이 둔화하며 9월 인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CPI)은 지난 2022년 6월 9.1%에서 올해 6월 3%까지 하락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올해 1월 3.1%였던 CPI는 3월 3.5%까지 오른 뒤 6월 3%로 내렸다. CPI에서 3분의 1은 주거비다. 세입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임차료와 집주인이 기대하는 임대료가 모두 내리면서 CPI가 하락했다는 설명이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주거비를 제외한 소비자물가, 개인소비지출(PCE)은 5월 기준 2.6%로 올 초부터 2%대에서 머물고 있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준금리를 낮추기 위해선 물가가 계속 하락하고 있다는 확신을 가질만한 지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소비자물가의 복병으로 작용했던 주거비까지 내리면서 오는 9월 물가 하락세가 뚜렷해지면 연준이 금리인하를 논의할 것이란 분석이다. 고용시장도 둔화하고 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6월 비농업부분 고용은 20만6000명 증가했다. 올해 1월 비농업부분 고용은 35만3000명 증가한데서 3월 30만3000명으로 감소한 뒤 6월 20만6000명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실업률은 3.1%→3.8%→4.1%로 상승했다. 고금리·고물가를 버티지 못한 기업이 늘면서 고용을 줄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금까지 연준은 금리인하를 위해선 물가하락과 함께 고용시장 둔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줄곧 강조해 왔다. 고용이 줄면 소비자는 소득이 감소해 지출을 줄인다. 수요(지출)가 감소하면 물가하락, 경기침체 우려가 높아지면서 금리인하를 논의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날 월가는 연준이 7월 지표를 통해 방향을 분명히 한 뒤 9월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다. JP모건과 맥쿼리는 금리인하시기를 11월과 12월에서 9월로 앞당겼다. 라자드 자산운용의 로널드 템플 수석시장전략가는 "9월 금리인하는 이 시점에서 이미 확정된 일"이라고 말했다.

메트로신문사

◆ 韓, 미국보다 빠른 금리인하 어려워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기준 금리 시기는 9월 이후 논의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6월 기준 2.4%로 4월부터 3개월째 2%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1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물가를 봤을 때)금리인하를 논의할 만한 여건이 됐지만 외환시장과 가계부채, 수도권 집값 상승 등을 고려해 통화정책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4월 1400원대까지 오른 뒤 외환 당국의 시장 개입으로 1300원 중후반대로 내려왔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이날 기준 원·달러 환율은 1382원으로 다만 이날기준 원·달러 환율은 1382.8원으로 마감했다.

미국의 금리인하에 앞서 한은이 금리를 내리면 지금도 부담스러운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를 수 있다.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르면 수입물가가 오르며 물가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금융권 관계자는 "하반기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설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며 "공공요금, 유가상승 등 물가상승 압박이 많은 상황에서 한은이 미국보다 금리를 빨리 내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 가능성을 확대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