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1인 이상 사업체, 6개월간 52.5만명 채용한다…전년比 8.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4년 상반기 직종별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

제조업 11.4만명·보건업 6.1만명·도소매업 6.1만명 등 채용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올해 2~3분기까지 6개월간 국내 채용계획 인원은 52만5000명으로 추산됐다.

2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직종별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4월1일 기준 부족인원은 52만4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4만6000명(-8.1%) 감소했다. 2~3분기 채용계획인원은 52만5000명으로 추산됐고, 전년동기대비 4만6000명(-8.1%) 줄었다.

이번 조사는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약 7만2000개소를 대상으로 했다.

2~3분기 6개월간 채용인원이 많은 산업은 △제조업(11만4000명) △도매 및 소매업(6만1000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6만1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 순(5만1000명)으로 나타났다.

직종별로는 △경영‧행정‧사무직(7만3000명) △영업‧판매직(5만2000명) △음식 서비스직(5만2000명) △운전‧운송직(4만7000명) △기계 설치·정비·생산직(2만9000명) 순으로 나타났다.

사업체는 인력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채용비용 증액 또는 구인방법의 다양화'(60.8%), '임금(급여)인상 등 근로조건 개선'(33.7%) 순으로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구인인원은 143만9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3.4%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채용인원은 132만명으로 7.7% 증가했다. 구인인원은 최초 모집공고 당시에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을 지칭하고, 채용인원은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확정했거나 채용한 인원을 뜻한다.

1분기 미충원인원은 11만9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8.5% 감소했고, 미충원율은 8.3%로 전년동기대비 3.7%p 하락했다.

산업별 구인인원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4만1000명) △제조업(18만3000명) △건설업(16만명) △숙박 및 음식점업(15만8000명) 순으로 많았다.

채용인원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2만7000명) △건설업(15만5000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15만2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15만1000명) 순으로 많았다.

미충원인원은 △제조업(3만7000명) △운수 및 창고업(1만7000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만4000명) △도매 및 소매업(1만명) 순으로 많았다.

직종별 구인인원은 △음식 서비스직(17만2000명) △경영‧행정‧사무직(16만5000명) △영업‧판매직(15만명) △건설‧채굴직(11만9000명) △교육직(8만8000명) 순으로 많았다.

채용인원은 △음식 서비스직(16만5000명) △경영‧행정‧사무직(14만8000명) △영업‧판매직(14만1000명) △건설‧채굴직(11만7000명) △교육직(8만6000명) 순으로 많았다.

미충원인원은 △운전‧운송직(1만8000명) △경영‧행정‧사무직(1만7000명) △영업‧판매직(9000명) △기계 설치·정비·생산직(8000명) △음식 서비스직(8000명) 순으로 많았다. 특히 돌봄서비스직은 (+1000명)이 증가했다.

미충원 사유에 대해 사업체들은 구인했으나 채용하지 못한 사유로 '임금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24.5%), '사업체에서 요구하는 경력을 갖춘 지원자가 없기 때문'(22.1%) 순으로 답했다.

freshness410@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