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하마스·이스라엘 무력충돌

중동 확전 ‘일촉즉발’… 이스라엘, 레바논 공격 계획 승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즈볼라와 전면전 우려 고조

가자 전쟁 발발 후 잇단 무력 충돌

헤즈볼라 군사력 하마스보다 막강

병력 6만·미사일 15만 개 보유 추산

美, 양국에 특사 파견… 상황 예의 주시

이스라엘이 지난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전쟁 발발 이후부터 무력 공방을 벌여온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에 대한 공격 계획을 승인하면서 중동지역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가자지구 전쟁이 8개월 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보다 전력이 강한 헤즈볼라와 이스라엘이 충돌할 경우 전쟁 여파가 더 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8일(현지시간) 이스라엘군은 성명을 내고 “북부 사령관인 오리 고딘 소장과 작전참모인 오데드 바시우크 소장이 전황 평가 회의를 열고 레바논 공격을 위한 작전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세계일보

화염 치솟는 이스라엘·레바논 국경지대 이스라엘과 레바논 국경에 18일(현지시간) 화염이 치솟고 있다. 이스라엘군과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교전으로 이스라엘 북부 국경지대에는 전운이 감돌고 있다. 키르야트시모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란의 지원을 받는 헤즈볼라는 지난해 10월 가자지구 전쟁이 발발한 후 하마스 지지를 선언하고 이스라엘과 교전을 벌여왔다. 양측의 충돌은 지난 11일 이스라엘군의 공습으로 최고위급 헤즈볼라 지휘관 탈레브 사미 압둘라가 사망하며 격화됐다. 헤즈볼라는 보복을 다짐하며 13일까지 이틀에 걸쳐 이스라엘 북부를 향해 로켓과 드론 공격을 무더기로 난사했다.

이스라엘과 헤즈볼라의 전면전이 벌어질 경우 대규모 피해가 불가피하다. 헤즈볼라는 레바논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정치 조직으로 레바논 정규군보다 높은 수준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 헤즈볼라는 1980년대 초중반 미국과 이스라엘 등에 저항하자는 취지로 이란의 지원을 받아 창설됐다. 1980~1990년대 미국과 이스라엘을 겨냥한 테러활동을 해왔다. 정확한 병력 규모가 알려지지 않았지만, 두바이에 본부를 둔 걸프연구소는 헤즈볼라가 1000명의 정규 대원과 6000∼1만명의 자원병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했다. 헤즈볼라 전문가로 알려진 니컬러스 블랜퍼드는 현역과 예비군을 포함한 헤즈볼라의 병력 규모를 6만명으로, 보유 중인 미사일을 15만발가량으로 추산한 바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과 싸우는 민병대인 하마스와 달리 헤즈볼라는 전투로 단련된 전투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스라엘 내부 깊숙한 곳의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는 장거리 정밀 유도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일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은 이 같은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급한 불 끄기에 나섰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에이머스 호크스타인 중동 특사를 이스라엘과 레바논에 급파한 상태다. 호크스타인 특사는 이날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서 “이스라엘과 헤즈볼라의 무력 충돌은 충분히 오래 지속했다”며 “이 갈등을 외교적으로 조속히 푸는 것이 모두의 이해와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

11월 대선을 앞두고 전쟁에 부담을 느끼는 바이든 정부와 전시 내각 해체 및 반정부 시위 확산 등 최악의 정치적 위기를 맞은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충돌도 이어지고 있다.

네타냐후 총리는 19일 영상 메시지를 통해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미국의 무기 공급 제한을 철회하겠다는 확약을 했다며 “최근 몇 달간 미국이 이스라엘에 무기와 탄약 공급을 보류한 상황이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에 카린 장 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몇 시간 뒤 “그(네타냐후 총리)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반박했다.

세계일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가자지구 전쟁은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레바논과 달리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스라엘 당국자들과 분석가들의 말을 인용해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전쟁의 최종 목표인 하마스 소탕을 거의 달성했다고 전했다.

WP는 이스라엘이 미국과 국제사회의 반대를 무시하고 가자지구 남단 라파에 대한 공격을 이어간 지 6주 만에 공격이 고강도에서 저강도를 전환되는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고 짚었다. 다만 가자지구 내에서 하마스의 소규모 그룹이 여전히 이스라엘군을 겨냥해 로켓을 발사하는 등 공격을 이어가고 있어 지상작전이 끝나더라도 전쟁이 완전히 종식되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이민경 기자 m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