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황보라 “의료파업에 무통 못 맞아”...발끈한 의협 “명백한 허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지난 달 제왕절개로 아들을 출산한 배우 황보라. /사진=유튜브 채널 ‘웤톡’ 영상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제왕절개로 아들을 출산한 배우 황보라가 의료 파업으로 무통주사를 맞지 못했다고 발언해 논란이 일자 대한의사협회(의협)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의협은 18일 보도자료를 통해 “황씨가 제왕절개로 분만한 지난 5월에는 의사 파업이 있지 않았다”며 “의사 파업으로 인해 무통주사를 맞지 못했다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내용”이라고 밝혔다.

또한 “무통주사와 페인버스터는 제왕절개 수술 중에 시행하는 시술로, 황보라가 수술 후에 의사가 없어서 무통주사를 맞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것도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되는 주장”이라며 “잘못된 사실을 게시한 황보라 측은 해당 게시물을 정정 또는 삭제 조치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유튜브 ‘웤톡’ 측은 의협의 공개 입장 표명에 황보라의 발언이 담긴 영상을 현재 삭제 조치한 상태다.

앞서 지난 16일 황보라는 유튜브 채널 ‘웤톡’에 출연해 “제왕절개로 출산할 당시 의료 파업으로 인해 국소 마취제를 맞지 못해 제왕절개 통증을 그대로 감당해야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페인버스터라는 게 있는데 아플 때마다 누르는 거라고 하더라. 근데 나에게는 페인버스터라는 걸 안 줬다”며 “알아보니 의료 파업 때문에 담당 의사가 없다는 거다. 내가 그걸(통증) 다 견디고 있었다. 지금 의외로 상처가 크더라”고 토로했다.

페인버스터는 수술 부위 근막에 투여해 통증을 조절하는 국소마취제로 분만 시 산모의 통증을 줄여주고자 무통주사와 함께 써 왔다.

의협은 “정부의 의료농단 사태에 맞서 의료 정상화를 위해 의사들이 단체행동에 나선 엄중한 시국에 다수 언론이 사실관계가 틀린 내용을 보도해 의사를 악마화하고 잘못된 여론을 선동한 것에 다시 한번 유감을 표한다”며 “잘못된 사실을 게시한 황씨 측도 해당 게시물을 정정 또는 삭제 조치하기 바란다”고 경고했다.

황보라는 중견 배우 김용건의 아들이자 배우 하정우의 동생인 워크하우스컴퍼니 김영훈 대표와 지난해 11월 결혼했다.

이인아 기자(inah@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