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외근·출장' 쏘카비즈니스, 이용법인 3만곳 넘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3년 평균 매출 증가율 70%
전체 예약 중 36%는 중견·대기업


비즈워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쏘카비즈니스'가 출시 5년 만에 누적 이용법인 3만2000곳을 돌파했다.

18일 쏘카에 따르면 2019년 법인 고객 대상으로 첫선을 보인 쏘카 비즈니스는 최근 3년 동안 연평균 70.6%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쏘카비즈니스는 10분 단위로 이용할 수 있는 기업 전용 카셰어링부터 월 또는 연 단위로 중고차와 신차를 이용할 수 있는 장기렌트까지 기업별 다양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법인 소유의 차량을 쏘카처럼 모바일로 간편하게 예약하고 이용할 수 있는 '쏘카 FMS'도 제공 중이다.

전체 고객사 중 임직원 100명 이하 기업이 80%를 차지했다. 이어 100~500명 8%, 500~1000명 5%, 1000명 이상 7%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예약 비중으로 보면 임직원이 1000명 이상인 기업이 가장 많았다. 지난해 쏘카비즈니스 전체 예약 중 약 36%가 임직원 1000명 이상의 중견기업, 대기업 이용 건이었다.

쏘카비즈니스는 법인 임직원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인 만큼 일반적인 이용 연령층과 차이를 보였다. 쏘카 이용자 평균 나이는 32.9세지만, 쏘카비즈니스는 38.9세로, 6세 높았다. 모두 30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쏘카 비즈니스가 30대와 40대에서 각각 12%, 8% 더 많았고, 20대는 7%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비즈워치

/자료=쏘카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 지역은 사무실이 많은 수도권의 업무지구가 주를 이뤘다. 서울에서는 강남, 서초, 마포, 송파, 영등포 등 업무지구 내 이용이 많았고, 경기도에서는 판교가 있는 분당 지역의 이용 비중이 컸다.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역, 동대구역, 울산역, 광주송정역, 천안아산역, 오송역 등 KTX 역사 주변에서 쏘카 이용이 활발했다. 업무 외 직원복지 형태로도 쏘카 비즈니스 혜택을 제공하는 기업들의 영향으로 제주 지역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조은정 쏘카 엔터프라이즈그룹장은 "쏘카비즈니스는 유지비, 주차비, 관리비 등 비용뿐 아니라 실제 업무 이동이 필요한 임직원이 겪고 있는 비효율과 불편함까지 한 방에 해결할 수 있다"며 "13년 동안 쌓아온 운영 노하우와 인프라를 기반으로 기업별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