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美, 푸틴 방북에 "북러관계 심화 우려"…"쓸쓸한 브로맨스" 혹평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이 2023년 9월13일 러시아 동부 아무르 지역의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19일 이틀간 북한을 방문하는 것과 관련해 국제사회는 우려를 표하면서도 '쓸쓸한 브로맨스'라며 혹평을 내놨다.

17일(현지시각) AFP,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푸틴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해 기자들에게 "우리가 걱정하고 있는 것은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관계가 깊어지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커비 대변인은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여전히 우크라이나 목표물을 타격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이는 우크라이나 국민뿐만 아니라 한반도 안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북러는 푸틴 대통령이 18~19일 양일간 북한을 방문한다고 동시에 발표했다. 푸틴 대통령은 18일 저녁 늦게 평양을 찾아 19일 주요 국빈 방문 일정을 소화할 전망이다.

이번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2000년 7월 이래 24년 만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2년 넘게 이어지는 상황에서 이뤄지는 것이다. 북한은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사용할 포탄 등 무기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푸틴 대통령은 방북 기간 중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군사·안보 분야에서의 협력 심화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북한과 러시아가 자동 군사개입 조항을 포함한 상호방위조약 체결을 맺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머니투데이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이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나토 본부에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 2024.04.04 ⓒ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북러 관계에 대해 "쓸쓸한 브로맨스"라며 "최선의 대응은 우크라이나의 평화와 정의를 위한 외교적 연대를 강화하고 우크라이나에 더 많은 패트리엇과 탄약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도 "러시아의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침략 전쟁의 가장 큰 지지자는 북한, 이란, 중국"이라며 이번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러시아가 얼마나 권위주의 지도자에게 의존적인지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이날 앞서 윌슨 센터 연설에서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계속해서 방산 물자를 제공하는 중국을 향해 "노선을 바꾸지 않는 한 동맹(나토 회원국들)은 (중국에) 대가를 부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유럽에서 가장 큰 무력 충돌을 부추기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서방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를 원한다"며 "그러나 두 가지를 모두 가질 수는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다음달 9~11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에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정상을 옵서버 자격으로 초청한 사실도 공개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선 "역설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평화를 향한 길은 우크라이나에 더 많은 무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에 반대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을 염두에 둔 듯 "누가 미국의 차기 대통령이 되든 우리는 무기를 지연 제공하는데 따른 위험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현 기자 jihyun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