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나이는 94세, 건강검진 몸은 36세... 60년을 되돌린 할머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본 사토 할머니

조선일보

애독하는 월간지를 든 사토 히데씨. 2024년 5월/이와테현=성호철 특파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초 일본 아사히신문은 94세인 사토 히데씨 사례를 소개하면서 “경이롭다”고 보도했다. 작년 9월 일본 동북 지방의 이와테현 한 보건소 건강검진에서 기초 대사량으로 측정하는 체내(體內) 연령이 36세로 나온 것이다. 혈관 연령은 20세였다. 그는 키 163㎝, 체중 63.5㎏으로 평균적인 체형이지만, 그의 생체 나이는 결코 평범하지 않은 것이다.

조선일보

사진=성호철, 그래픽=김의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토씨의 평균 체질량 지수(BMI)는 23.9, 체지방률 25%, 근육량은 44.6㎏이다. 건강한 30대 여성의 신체다. 보건소 측은 기계 이상을 의심하고 서너번 체크했다고 한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지난달 30일 도쿄에서 동북쪽으로 500㎞ 떨어진 이와테현에서 사토 히데씨를 만났다.

‘구구팔팔(99세까지 팔팔하자 살자)의 비밀을 묻기 위해 왔다’는 이야기에 사토씨는 “아직 백 살도 안 됐다”면서 웃었다. 그는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나, 라디오를 들으며 체조하고 낮에는 재봉틀에서 손을 움직이며 인형을 만들거나 옷을 리폼한다. 몸을 움직이지 않을 때엔 글씨가 빼곡한 잡지를 나안(裸眼)으로 읽는다. 엘리베이터는 안 타고 계단을 걸어 다닌다. 매일 고기·생선 같은 단백질을 섭취한다. 튀김은 싫어하지만 야채·과일을 좋아한다. 밤 11시쯤 자는데, 그 직전 목욕하면서 물속에서 발차기를 500회씩 한다.

사토씨는 “동일본 대지진 때 10미터 넘는 쓰나미가 동네를 덮쳐 친척 7명이 죽었다”면서 “소녀 시절이던 1945년엔 폐허가 된 도쿄에서 풀죽도 먹어봤고, 삶의 처참함을 겪어봤다. 이를 통해 난 삶의 고귀함을 배웠다”고 했다.

조선일보

그래픽=김의균


일본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市)의 한 아파트. 초인종을 누르자 “하~이” 하고 높은음의 목소리가 들렸다. 1930년 7월생인 사토 히데씨다. 올해 나이가 94세지만, 체내 연령은 36세로 측정돼 올해 초부터 일본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그가 혼자 사는 임대아파트엔 먼지 하나 없었다. 사토씨는 “매일 혼자 세 끼 식사를 차리고 설거지하고 청소한다”고 했다. 그는 또한 “가족과 사는 70·80대 노인들을 보면, 가족들이 자꾸 대신 뭔가 해주니 본인은 움직이지 않게 되고 금방 쇠약해진다”면서 “나는 혼자 다 해야 하다 보니 계속 움직여서 덕분에 건강한 게 아닐까”라고 했다. 두 시간가량 인터뷰하는 동안에도 사토씨는 쉴 새 없이 말하며 다과를 내놓고, 사진이나 잡지를 보여주는 등 끊임없이 움직였다.

-94세인 당신에게 인생이란.

“81세에 동일본대지진을 만났다. 이때 삶을 찬찬히 다시 생각했다. 당시 (쓰나미로) 친척만 7명이 죽었다. 조카딸도 죽었는데 뭔가 하고 싶었다. 헝겊을 꿰매 인형을 만들어 죽은 조카의 엄마에게 건넸더니, 펑펑 울더라. 인형을 딸로 본 것이다. 이후엔 줄곧 인형을 만들어 주변에 나눠주고 있다. ‘다른 사람과 함께 사는 것’, 그 자체가 인생이다. 즐겁다. 주변 사람들과도 항상 즐겁게 살고 있다. 그러니 나중에 나 죽어도, 제발 고독사(孤獨死)라고 쓰지 마라. 왜 그게 고독사냐.

1945년 2차 세계대전 폭격으로 불에 타 폐허가 된 도쿄를 봤다. 큰 냄비에 풀죽을 끓여 그릇에 나눠 먹었다. ‘산다는 것’의 참담함을 봤고, 산다는 것의 고귀함도 동시에 느꼈다.”

-하루 일과는.

“매일 6시에 일어난다. 방 침구를 정리하고 아침 식사를 미리 준비해 놓곤, 6시 반에 NHK 라디오방송에 맞춰 ‘라디오 체조(우리나라의 국민체조와 유사)’를 한다. 천천히 아침 먹고, 꼭 NHK 아침 드라마를 본다. 9시 30분부턴 인형 만들기를 시작한다. 집 안 정리는 매일 한다. 2~3일에 한 번 청소기도 돌린다. 식사는 매일 세 끼를 직접 만들어 먹는데, 꽤 많은 양을 먹는다(웃음). 매주 두 번씩 장을 볼 때마다 채소를 무척 많이 산다. 아침엔 밥·국에 생선·고기를 먹고, 낫토(콩 발효식품)도 먹는다. 잠은 밤 11시쯤에 잔다. 자기 직전인 밤 10시쯤 목욕하면서 물속에서 발차기를 500회 정도 한다.”

-단백질을 매일 먹나.

“생선과 고기는 꼬박꼬박 먹는다. 생선은 말린 걸 사서 냉동해 놓는다. 보통은 구워서 먹는다. 기름으로 튀긴 생선은 별로 안 좋아해서다.”

-별도로 하는 운동은.

“특별한 운동은 하지 않지만 여기가 2층이기 때문에 계단을 오르내리고 있다. 내과 의사 선생님은 100세까지 살려면 6층 정도의 계단은 올라가야 한다는데, 집은 2층이라서 그건 무리다. 산책은 집 근처를 왔다 갔다 한다. 큰길로도 산책을 가고 싶은데, (그곳엔) 중간에 앉아서 쉴 벤치가 없어서 못 가고 있다. ‘나의 늙음’을 이럴 땐 조금 실감한다.”

-병원은 정기적으로 가나.

“매주 금요일 데이 서비스(주간 보호 서비스)에 간다. 70세 때 치매가 온 조카며느리를 데리고 다닌다. 데이 서비스에선 체온을 재주고 가벼운 체조도 하고, 종이접기 같은 뇌 운동도 하고 많이 배운다. 낮엔 자유 시간인데, 다른 노인들은 낮잠 자거나 수다를 떨지만, 난 시간이 아까워서 이 시간엔 옷 리폼을 배운다. 88세쯤부터 새롭게 시작한 일이다.”

사토씨는 방에 가지런히 걸린 열 벌가량의 현대식 기모노를 가리켰다. “기모노를 리폼한 것이다. 옛날 재봉틀은 발을 사용하는데 요즘 재봉틀은 그게 없더라. 지인들이 놀러오면 꼭 입어본다. 달라고 하면 준다. 재밌어서 이렇게 자꾸 새로운 걸 배운다. 리폼한 옷은 간혹 팔아서 커피 값 등에 쓴다.”

-잠은 금방 드나.

“이불 속에서 깊게 들이마시고 내쉬는 호흡을 5번씩 한다. 체형 교정 선생님이 가슴을 활짝 펴는 게 좋다고 해서,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호흡하자마자 곧장 잠든다. 밤에 간혹 깨기도 하지만 화장실에 갔다와서 다시 잠에 잘 드는 편이다. 하루 7시간쯤 잔다. 자기 전 휴대폰은 하지 않고, 커튼을 쳐서 어둡게 해놓고 잔다.

-신문·잡지 읽는 것도 좋다던데.

“지치(致知)라는 월간지를 정기 구독한다. 배달 오면 그 자리에서 다 읽고, 나중엔 한가할 때 다시 읽는다. 재봉질할 마음이 없을 때, 조금 피곤할 때도 글을 읽는다. 잡지를 읽는 이유는 지식을 보충해 지인들과 즐겁게 대화하기 위함이다. 주변 사람들과 자주 만나고, 전화도 자주 한다. 이야기 상대가 10명은 넘는다.”

-술·담배는 하는지.

“젊은 사람들과 종종 맥주 마시는 것도 좋아한다. 젊은 사람들이 맛있게 맥주를 마시니, 나도 마셔봤다. 요즘은 일주일에 2~3번 정도 저녁에 드라마 보며 한 캔씩 마신다.”

-몸무게는 일정한가. 건강 보조제도 먹는지.

“평생 60~65㎏을 유지하고 있다. 건강 보조제는 따로 먹지 않는다. 보조 식품보다 식사를 제대로 하는 게 낫지 않은가?

최근엔 난생처음 인스턴트 라면도 먹어봤다. 지인에게 재봉질한 옷을 줬더니 답례로 주더라. 맛있었다. 단, 염분이 많아, 국물은 안 마셨다. 우동·소바 먹을 때도 국물은 안 마신다. 내가 만든 된장국은 국물까지 마신다. 잘 아는 가게에서 산 좋은 된장이라서 괜찮다.

커피보단 차를 마시고, 과일은 매일 먹는다. 와인도 마시고 아이스크림도 먹는다. 의사는 안 된다고 하지만 디저트도 먹는다. 맛있으니까(웃음).”

[이와테현=성호철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