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조태열 외교 “러에 ‘한반도 안정 저해 안 돼’ 경고성 메시지 전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조태열 외교장관이 지난 9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페루 외교장관과 회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임박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해 “이번 방문 결과로 (북러간에) 어떤 구체적 합의가 이뤄질지 두고 봐야겠지만 결과에 따라 필요한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16일 저녁 채널A 뉴스에 출연해 “우리는 한반도 평화·안정에 저해되는 방향으로 (북러간) 논의가 이뤄져선 안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고, 그런 경고성 메시지를 러시아측에 분명히 전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장관은 북한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서로 필요에 의해 밀착한 측면이 있고 이런 차원에서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이뤄지는 것으로 보면서도 “북러 협력이 장기적·전략적인 협력관계로 이어질지, 아니면 필요에 의한 일시적·전술적 협력에 그칠 것인지 두고봐야 한다”고 했다. 푸틴 대통령이 18~19일께 북한을 20년 만에 방문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회담하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사항인 군사협력문제 등이 회담 의제로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조 장관은 비슷한 시기에 열리는 한중 외교안보대화와 관련해서는 “서로 차이를 인정하면서 갈등 요소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중요하고 앞으로 그런 방향에서 협력 모멘텀을 이끌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흔히들 ‘외교'라고 하면 에둘러서 하는 대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서로 이견이 있는 부분은 솔직한 대화로 터놓고 차이점을 인정하는 가운데 협력요소를 찾아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달 방중했을 때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이 중국의 핵심 이익이 걸린 문제로 대만 문제를 거론했고, 자신은 “북한 비핵화는 우리 실존적인 위협이 되는 우리 핵심 이익에 걸린 문제이기에 우리 입장을 존중하지 않으면 한중관계 발전 기반이 무너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는 일화를 소개했다.



조 장관은 최근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 행위에 대해 “비상식적이고 비문명적 조치”라고 비판하고, 한국이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등 “단호하고 절제된 대응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지지 입장이 있기에 긴밀한 공조 아래 그런 (북한의) 위협 행위를 중단시키도록 촉구할 것”이라며 확성기 방송을 재개할지, 아니면 그보다 더한 대응조치를 취할지는 전적으로 북한의 태도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박민희 선임기자 minggu@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오직 한겨레에서 볼 수 있는 보석같은 기사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