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대통령실 “美·日과 역내 안보 수시로 소통”… 푸틴 방북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반도 안보 ‘운명의 한 주’

주중 18∼19일 北·러 회담 전망

中과 전략대화로 北 견제 관측

韓·러 관계회복 맞물려 관심 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이 임박하면서 정부는 우방인 미국·일본과 정보를 교류하며 대책 마련에 나섰다. 또 중국과 전략대화를 개최하며 북한을 압박하는 외교전도 병행한다. 지난달 한·중·일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중동·아프리카·중앙아시아에 이르는 릴레이 정상외교를 이어온 윤석열정부의 외교안보 라인은 숨가쁜 외교 주간을 맞이한다.

세계일보

중앙아시아 3개국(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국빈 방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6일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해 공군 1호기에서 내려 환영 나온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정진석 비서실장과 인사 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미·일 공조에 중국 통한 우회압박

16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5박7일 일정의 중앙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이날 새벽 3시쯤 경기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한 윤석열 대통령과 외교안보 라인 참모들은 이번주에 열릴 북·러 정상회담 관련 정세 분석에 집중하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4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순방 중 기자들과 만나 북·러 회담에 대한 대응 방안에 대해 “미국·일본과 역내 안보 문제에 대해 수시로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며 “이번에도 그 과정과 결과에 있어 함께 분석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러가 어떤 내용을 가지고 결과를 어디까지 공개할지, 묻어둘지를 지켜봐야겠지만 시나리오별로 우리 안보에 위해가 되지 않도록 동맹 간에 역내 평화를 위해서 우리 스스로 권익을 지켜나갈 수 있는 대응책을 연계해서 계속 살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주 중국과 외교안보 대화를 예고하고 있다. 지난달 한·중·일 정상회의에 이어 북한의 최대 교역국이자 우방인 중국과 자주 접촉해 북한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도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비슷한 시기(이번주) 전개되는 한국과 중국의 전략대화를 십분 고려하며 주변국들이 대한민국과 궤를 같이 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외교해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18∼19일 1박2일간 진행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2000년 7월19∼20일 이후 24년 만이다. 표면상 지난해 9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를 찾아 북·러 정상회담을 개최한 데 따른 답방 차원에서 진행되는 방북이지만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외교적 고립을 겪고 있는 러시아가 새로운 출구를 모색하기 위한 차원의 외교 행보라는 데 무게가 실린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 입장에선 푸틴의 방북 자체가 큰 의미가 있다”며 “외교·정치적인 승리를 선포하는 상징성을 부여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박 교수는 “북·러 양국은 그동안 해온 군사협력, 위성 발사체 관련 기술 교류, 경제협력 등에 대해 폭넓게 논의하겠지만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일보

사마르칸트 유적지 관람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 15일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샵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내외와 함께 고대 유적지를 관람하고 있다. 사마르칸트(우즈베키스탄)=남정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 결국 한국과 손잡을 것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이후 러시아와의 관계 회복을 염두에 두고 있는 한국 정부 입장에서는 이번 북·러 정상회담에서 나올 결과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한 외교 소식통은 “내달 미국에서 열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의의 최대 관심사가 러시아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이라며 “그동안 북한 문제에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었던 유럽도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한반도 문제가 자신들의 안보와도 직결되면서 이번 북·러 정상회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장호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4월 말 KBS 인터뷰에서 푸틴의 방북과 관련해 “러시아가 북한에 제공하는 것에 대해 러시아도 좀 제한적이다, 조금 신중하다”며 “러·북 군사협력과 관련해 우리가 특히 우려해야 되는 부분이 있고, 그것들이 어떤 것인지는 러시아가 알고 있다. 서로 소통이 있었고, 러시아도 우리 측이 좀 안 해줬으면 하는 그런 부분들이 있는데 그것도 우리가 알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이런 균형점을 러시아 측이 잘 지키기를 바란다, 저희도”라고 덧붙였다.

이는 정부가 미국을 통해 우크라이나에 우회 수출한 무기를 제한하는 것과 러시아가 북한에 지원하는 군사협력을 두고 한·러 양국이 적정한 선을 지키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특히 장 실장은 “러시아는 궁극적으로 남북한 중 어디랑 협력해야 하는지 러시아 스스로가 잘 안다”며 “한·러 관계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이후에는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병욱·박지원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