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정치권 사퇴와 제명

이재명 이달말 대표 사퇴후 연임 도전 전망…‘사법리스크’에 연임론 힘 실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형기 기자 oneshot@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8월 열리는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이재명 대표의 당 대표 연임 도전이 기정사실로 되고 있다. 이 대표 측은 8월 전당대회에 러닝메이트로 함께 출마할 친명계 초·재선 최고위원 후보자를 추리는 작업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16일 통화에서 “민주당에서 이 대표 말고는 당 대표를 맡을 대안이 누가 있느냐”며 ‘대안부재론’을 강조했다. 친명(친이재명)계 내에서는 이 대표가 이르면 6월 말 당 대표를 사퇴하고 차기 당권 도전을 공식 선언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8월 18일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치르기 위해 이달 말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를 출범시킬 예정”이라며 “‘선수가 심판을 보는 격’이라는 지적을 피하기 위해 이 대표도 전준위 출범 이전에 당 대표를 사퇴를 선언하고 본격 전당대회 행보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친명계는 당 대표가 171석의 거대 야당을 이끌어야 하는 만큼 강력한 리더십을 갖춘 인물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민주당에서 연임 전례가 없었던 만큼 ‘대안부재론’을 내세워 출마 명분을 쌓는 것이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새로운 인물이 대표가 되면 개성이 강한 여러 의원을 제대로 통솔할 수 있겠냐”며 “당이 구설수에 휘말리는 것을 막고 대여 공세와 민생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중심을 잡을 사람은 이 대표 뿐”이라고 했다.

최근 이 대표가 ‘쌍방울 불법 대북 송금’ 사건으로 추가 기소되면서 4개의 재판을 동시에 받아야 하는 상황에 놓인 것도 연임론에 힘을 싣고 있다. 현재 주 2회 정도 재판을 받는 이 대표는 향후 서울과 수원을 오가며 매주 3~4회 법정에 출석해야 하는데 ‘사법 리스크’ 해소를 위해서도 야당 대표직을 유지하는 게 유리하다는 것이다. 친명계 핵심 관계자는 “현 정권이 노골적으로 이 대표를 감옥에 보내려고 하는데, 당 대표직을 내려놓을 경우 혼자 화살을 맞아야 하는 것 아니겠냐”고 했다.

이 대표는 연임 도전에 나설 경우 당원 중심의 정당 개혁을 전면에 내세우겠다는 방침이다. 이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당원권 강화와 직접민주주의 확대에 대한 요구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라며 “출마 선언 때 당의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방안에 대한 언급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은 17일 중앙위원회를 열고 ‘당 대표의 대선 출마 시 1년 전 사퇴’ 조항에 예외 규정을 추가하도록 의결할 방침이다. 이 대표가 2026년 6월 지방선거를 지휘하고 2027년 3월 대선에 도전할 수 있도록 길이 열어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친명계 일각에서는 이 대표의 연임을 두고 “대선을 앞두고 피로도만 높아질 뿐 실익이 없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원조 친명계 핵심인 김영진 의원도 최근 “이 대표가 연임 문제를 한 번 더 심각하게 숙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 역시 차기 당권 도전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대표 스타일상 중대한 결정은 최종 순간에 내리는 경우가 많다”며 “연임 문제도 찬반 양론을 끊임없이 듣고 있다”고 했다.

윤다빈 기자 empty@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