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의협 회장 “죽어라 지원했더니 불만만 가득…전공의 문제 손 뗄까요?”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공의 대표 비판에 반박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이 자신을 공개적으로 비판한 전공의 대표와 의견 갈등을 보였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임 회장은 지난 13일 밤 일부 전공의가 모인 온라인 단체대화방에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이 자신을 비판했다는 연합뉴스 기사 링크를 올리면서 “의협이 전공의 문제에 신경 끄고 손 뗄까요? 그거 바란다면 의협도 더 이상 개입하고 싶지 않습니다”라고 남겼다. 임 회장은 “죽어라고 지원해줬더니 고맙다는 사람은 하나도 없고, 컴플레인(불만)만 가득이고 왜 내가 몸 버려가며 이 짓 하고 있나 싶습니다”라며 “원하지 않으면 의협은 정부와의 대화, 투쟁 전부 대전협에 맡기고 손 떼고 싶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세계일보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왼쪽),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 비대위원장은 같은 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의협 중심의 의료계 단일 창구가 구성됐다는 소식을 공유하며 “임현택 회장은 뭐 하는 사람이죠? 중심? 뭘 자꾸 본인이 중심이라는 것인지”라는 글을 남겼다. 임 회장의 말은 저 글에 나온 반응이다.

노환규 전 의협 회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2020년의 트라우마가 4년이 지난 현재도 의협과 전공의들 사이의 신뢰를 깨뜨리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재차 확인하게 됐다”며 “그 컸던 충격과 허탈, 트라우마는 현재까지도 많은 의사의 뇌리와 가슴 속에 남아있다”고 글을 썼다.

의사단체들은 2020년에도 정부의 의대 입학정원 증원 추진에 정면으로 맞섰었다. 당시 최대집 의협 회장이 전공의의 반대를 무릅쓰고 그해 9월4일 정부와 합의를 맺고 상황을 종료시켰다. 이때 의료계 내부에서 의정 합의에 반발하는 의견이 적지 않았고, 대전협 비대위는 젊은 의사들의 의견이 배제됐다며 기성세대 중심인 의협에 절차상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의대생들은 의정 합의 이후에도 의사 국가시험 거부 기조를 유지했다.

현재 의협은 임 회장과 박 비대위원장 간 불화에도 전공의를 계속 보호한다는 방침이다. 채동영 의협 홍보이사는 “임 회장 입장에서는 정당한 투표를 통해 회장으로 선출됐는데, (전공의들의) 방향과 맞지 않는 부분 때문에 업무를 방해받는다는 느낌이 들어 불만을 표출한 것뿐”이라며 “전체 전공의에게 하는 얘기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의협이 회원인 전공의를 보호하고, 그들의 권익을 위해 일하는 건 너무나 당연한 것”이라며 “현재도 대전협에 최우선으로 접촉하는 등 일반 전공의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