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연평해전 25주년" "남북공동선언 24주년"…각자 셈법으로 본 6·15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尹 "제1연평해전 승전 25주년…평화, 강한 힘으로 지켜야"

李 "남북, 냉전 시절로 회귀…강경대응 피해는 국민 몫"

뉴스1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한병찬 박기현 기자 = 여야가 각자의 셈법으로 6월15일을 기억했다. 정부·여당은 이날을 '제1연평해전 승전 25주년'으로 언급하며 굳건한 안보태세를 약속했고 야당은 '6.15 남북 공동선언 24주년'을 내세우며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을 비판했다.

우즈베키스탄을 국빈 순방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오늘은 제1연평해전 승전 25주년이다"라며 "1999년 6월 15일 NLL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이 우리 고속정에 선제 기습공격을 가하면서 교전이 시작됐고 우리 해군은 용감히 맞서 북한 경비정을 압도적으로 격퇴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25년 전의 역사는 평화는 강한 힘으로 지킬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다시 한번 일깨워주고 있다"며 "우리의 영웅들과 함께 더 강한 대한민국을 반드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도 제1연평해전 승전 25주년을 강조했다. 윤희석 국민의힘 선임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그날의 승전을 되새기며 북한의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하면서 굳건한 안보태세를 이어나가겠다"며 "그때마다 조국을 지키겠다는 일념으로 우리 영해를 지켜낸 장병들의 고귀한 희생과 용기가 있었기에, 대한민국의 서해는 안전하게 수호될 수 있었다"고 했다.

윤 대변인은 6.15 남북공동선언 24주년을 언급하면서도 "새 시대를 열었다는 남북공동선언의 의미가 무색하게 북한의 도발은 끝없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선을 넘는 북한의 도발에 우리 정부는 '9·19 군사합의' 전부 효력 정지를 통해 그간 제약을 받아 온 군사분계선 일대의 훈련을 재개하면서 안보태세를 강화해 이전보다 더욱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됐다"고 했다. 남북 합의보다는 북한의 도발에 방점을 찍은 셈이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6.15 남북 공동선언 24주년을 맞아 강대강 대치가 아닌 북한과의 대화를 재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대중 대통령께서 남긴 '6.15 공동선언'의 정신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라며 "힘겹게 쌓아올린 평화가 한 없이 흔들리고 있다. 남북 사이에 오물 풍선과 전단지가 오가더니 한반도 평화의 안전장치였던 9.19 군사합의가 효력 정지되고 대북 확성기 마저 재개됐다"고 적었다.

이 대표는 "마치 냉전 시절로 회귀한 듯한 위기 상황이다. 북한은 국제적 고립만 자초할 무모한 도발행위를 중단하고 6.15 공동선언의 정신을 되찾으라"며 "항구적 평화 체제 구축만이 유일한 공존과 번영의 길임을 24년 전에 이미 확인하지 않았나"고 지적했다.

박지원 민주당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남북관계는 6.15로 돌아가면 해결됩니다'(김대중) '경제는 무너져도 살릴 수 있지만 남북관계는 무너지면 다 죽습니다'(강원용)"라며 "24년 전 평양에서 꿈꾸었던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초대 평양대사를 하겠다는 꿈을 지금도 해남의 하늘을 바라보며 기도한다"고 적었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염원하는 온 겨레의 숭고한 뜻을 담은 남북공동선언이 24주년을 맞았다"며 "24년 전 오늘, 처음으로 마주 앉은 남북의 지도자는 반세기를 이어지던 적대관계를 끝내고 협력과 교류를 통해 한반도의 평화로 나아갈 것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bcha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