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사진이 더팩트다' 공모전 관람하는 내빈들 [TF사진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보건복지부와 함께하는 저출생 극복 프로젝트 <사진이 '더'팩트다>' 시상식이 10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시민청 갤러리에서 열린 가운데 김상규 더팩트 대표이사와 내빈들이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한 '다둥이 가족(왼쪽 사진)'을 관람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의춘 한국인터넷신문협회장, 김상규 더팩트 대표이사,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 강철원 서울시 정무부시장, 박종현 한국기자협회장, 나준영 한국영상기자협회장. /남윤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

<사진이 '더'팩트다>' 사진 공모전에서 '광부'로 대상을 수상한 김미영 씨(왼쪽)가 내빈들에게 작품 설명을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남윤호·서예원 기자] '보건복지부와 함께하는 저출생 극복 프로젝트 <사진이 '더'팩트다>' 시상식이 10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시민청 갤러리에서 열린 가운데 김상규 더팩트 대표이사와 내빈들이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한 '다둥이 가족'을 관람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의춘 한국인터넷신문협회장, 김상규 더팩트 대표이사,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 강철원 서울시 정무부시장, 박종현 한국기자협회장, 나준영 한국영상기자협회장.

올해로 7회 째를 맞는 <사진이 '더'팩트다> 공모전은 '보건복지부와 함께하는 저출생 극복 프로젝트'에 동참했다. <사진이 '더'팩트다>는 저출산·고령화 사회를 국민 모두가 함께 극복할 수 있는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임신과 출산, 보육, 가족, 노인 복지, 의료 등을 주제로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제정, 시상했다.

더팩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상규 더팩트 대표이사는 이날 개회사에서 "전시회를 통해 사회가 직면한 저출생 인식을 높이고 사회적 관심을 이끌 것"이라며 "더팩트는 앞으로도 복지부와 저출생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한 발짝 더 나아갈 것"을 약속했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은 축사를 통해 "(더팩트와) 복지부가 저출생 프로젝트를 함께하게 됐다"면서 "정부에서도 더팩트와 함께 저출생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더팩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철원 서울시 정무부시장 또한 저출산과 관련해 "전체 출산율은 0.7%지만 서울은 0.56% 정도 됐다"며 "결혼 전 육아 전반에 걸쳐 여러가지 사업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당장 (출산율이)개선되진 않고 있지만 시간을 갖고 국가 생명과도 관련된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 시상 분야는 보건복지(저출산 극복, 가족, 의료 등) 디지털 카메라 드론 스마트폰 부문 등으로 사진을 좋아하는 아마추어 사진가 및 더팩트 독자 13명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더팩트 보도사진과 수상작들은 10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14일까지 서울시청 시민청 갤러리에서 전시된다.

더팩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상 '광부' 김미영

보건복지부 장관상 '다둥이 가족' 김택수

디지털 카메라 부문

최우수상 '백로의 사냥 순간' 김온유

입선'지자기 폭풍이 몰아치던 밤' 안형수'하늘을 나는 바닷물' 정미영

스마트폰 부문최우수상'무지개 줄넘기' 정규진

입선'후대를 위한 발걸음' 김동민

드론 부문최우수상'만추' 박윤준

입선'축제를 기다리는 사람들' 김민식

특별상

한국기자협회상 '교감' 김상석

한국인터넷신문협회상 '바다가 그린 그림' 김정국

한국사진기자협회상 '겨울 속으로' 김승진

한국영상기자협회상 '여동생이 태어 났어요' 김재현

ilty012@tf.co.kr
사진영상기획부 photo@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