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시위와 파업

[사설] 삼성전자 ‘전삼노’, 지금이 파업할 때인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이 어제 파업을 선언했다. 1969년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처음이다. 전삼노는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 중지 결정, 조합원 찬반투표 등을 거쳐 쟁의권을 확보했다. 전삼노 집행부는 다음 달 7일 하루 연차를 소진하라는 지침을 전달했다. “아직은 소극적인 파업으로 볼 수 있지만, 단계를 밟아나가겠다”고도 했다.

삼성전자 DS(반도체)부문 직원들이 주축인 전삼노 조합원 수는 2만8000여 명으로 삼성전자 5개 노조 중 가장 많다. 전체 직원 12만5000명의 22% 수준이다. 전삼노는 파업의 변으로 “회사는 지난 10년간 위기라고 외치고 있지만 노동자가 정당한 처우를 받지 못하는 위기가 더 크다”고 주장했다. 전삼노는 2022년과 2023년에도 쟁의권을 확보했으나 실제 파업에 나서지는 않았다.

지난해 DS부문의 초과이익성과급 지급률이 0%로 책정된 것이 전삼노가 ‘정당한 처우’ 운운한 이유일 것이다. 납득은 쉽지 않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DS부문에서 14조8800억 원의 적자를 냈다. 올해 법인세를 한 푼도 안 낼 정도로 부진한 실적이다. 그런데도 삼성전자는 사용자 위원과 근로자 위원이 참여하는 노사협의회를 통해 올해 평균 임금인상률을 5.1%로 정했다. 대규모 적자와 불투명한 경영 환경 속에서 물가상승률 2.6%의 2배 수준 임금인상이 결정됐다면 일반적으론 박수로 반겨도 모자란다. 그러나 전삼노는 창사 55년 만의 첫 파업 선언으로 대응했다.

전삼노는 “노동자들을 무시하는 사측의 태도”를 문제 삼았다. 명분이 충분한지 여간 의심스럽지 않다. 심지어 같은 그룹 내의 다른 노조들도 비판적인 반응이다. 삼성그룹 5개 계열사 노조가 연합한 초기업노조는 어제 “최근 (전삼노) 행보와 민노총 회의록을 보면 직원들의 근로조건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상급단체 가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여 그 목적성이 불분명하다”고 했다. 전날에는 “노동조합의 취지에 맞게 삼성 직원들을 위하는 교섭에 집중하고 노사 서로를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따끔한 비판의 화살이다.

전삼노는 한국노총 산하다. 그러나 앞서 24일 서초사옥 앞에서 진행한 집회에 민노총 금속노조원들이 대거 참석했다. 상급단체를 바꾸려는 의중이 있는 것 아닌지 의구심이 번질 수밖에 없다. 오죽하면 같은 노조마저 등을 돌리겠나.

길이 아니면 가지 말아야 한다.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은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인공지능(AI) 핵심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 경쟁력부터 미지수다. 이 국면에 파업으로 내달리는 것은 제 발등을 찍는 자충수다. 어제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승 출발한 삼성전자 주가가 하락 반전해 3% 넘게 빠지기도 했다. 시장의 우려가 얼마나 큰지 보여준다.

건전한 노사 관계는 상생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노조 문화는 정치세력화, 권력화로 얼룩져 있다. 평균 연봉 1억 원 넘는 귀족 노조들이 걸핏하면 파업 깃발을 흔드는 것은 국민을 무시하는 횡포다. 전삼노의 파업은 과연 다른지 자문할 일이다. 지금이 파업할 때인지도 자문하기 바란다.

[이투데이 (opini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