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5년째 침실에 틀어박혔다"..30대男 '방에서 안나오는 이유' 주목한 CNN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미국 CNN 방송이 사회적 관계를 단절하고 정서적으로 고립된 채 살아가는 한국, 일본, 홍콩의 은둔 청년들을 조명했다.

CNN은 25일(현지시간) ‘움츠러드는 삶:일부 아시아 젊은이들이 세상에서 물러나는 이유’(A shrinking life: Why some Asian youth withdraw from the world)라는 제목으로 ‘은둔형 외톨이’ 문제를 집중 보도했다.

CNN, 한국·일본·홍콩 '은둔형 외톨이' 집중 보도

한국의 경우, 19~32세 인구 중 2.4%인 24만4000명이 은둔형 외톨이로 파악된다.

허지원 고려대 심리학과 교수는 "은둔 청년의 증가와 관련해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에 속한 많은 이들이 ‘완벽주의적 걱정’을 하는 성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비판에 민감하고 지나치게 자기 비판적이며 실패를 두려워하며 새로운 시도를 했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경우에는 매우 낙담하고 불안해한다는 것이다.

일본은 한국보다 은둔형 외톨이 수가 더 많은 15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은둔형 외톨이는 생활비 상승, 임금 정체 등 광범위한 경제 문제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세키미즈 뎃페이 메이지가쿠인대 부교수는 CNN에 "일본에서는 직장을 잃거나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고군분투한 후 히키코모리가 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35세부터 5년간 은둔형 외톨이로 살았다는 한 일본 남성은 CNN에 "부모 병간호를 위해 고향으로 내려온 후 외동아들로서 간병과 재정관리를 잘해야 한다는 심한 압박감을 느꼈고 이후 침실에 틀어박히게 됐다"고 말했다.

홍콩에는 최대 5만명의 은둔형 외톨이가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홍콩대 폴 웡 부교수는 이들 대부분이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이지만 10대 초반 청소년에게서도 은둔형 외톨이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폴 웡 홍콩대 부교수는 "이들 대부분이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이지만 10대 초반 청소년에게서도 은둔형 외톨이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비판에 민감하고 지나치게 자기 비판적이며 실패를 두려워하는데, 새로운 시도를 했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경우에는 매우 낙담하고 불안해한다는 것이다.

인터넷부상, 코로나19 등으로 더 늘어났다

윤철경 지엘청소년연구재단 상임이사는 CNN에 “과거에는 대가족이었고 형제자매가 많아서 관계를 맺는 방법을 많이 배울 수 있었는데, 생활 환경이 바뀌면서 예전보다 공동체적 관계 형성 경험이 적다”며 핵가족이 은둔형 외톨이 문제와 관련이 있다고 진단했다.

최신 연구들은 예전에도 존재했던 은둔형 외톨이들이 인터넷과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더 생겨났다고 본다.

CNN은 전문가들의 발언을 인용해 은둔형 외톨이 현상이 아시아에서 처음 나타났지만, 미국·스페인·프랑스 등 국가들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일 대학의 연구원들은 "인터넷의 부상과 대면 상호 작용의 감소가 히키코모리의 전 세계적인 확산을 주도하고 있을 수 있다"라며 "코로나19로 되도록 실내에 머물도록 한 것 때문에 더 많은 은둔자가 생겨났다"고 진단했다.

CNN은 “아시아 전역의 정부와 단체들이 은둔형 외톨이의 사회 재진입을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 과제는 많은 국가가 인구 노령화, 노동력 감소, 출산율 저하, 청소년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더욱 시급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히키코모리 #은둔형외톨이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