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지속가능하고 공평한 AI 위해"…삼성·오픈AI 등 14개사 '서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AI 글로벌 포럼' 성과…개막식서 14개 기업 서약
AI 안전 연구·생성물 워터마킹 등 책임있는 AI 강화

머니투데이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2024 AI(인공지능) 글로벌 포럼 개막식에서 주요 참가 기업 관계자들이 서울 인공지능(AI) 기업 서약을 하며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발언을 듣고 있다./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주요 AI(인공지능) 기업이 책임있는 AI 개발과 활용을 위해 '서울 기업 서약'에 참여했다. 지난 21일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발표된 '안전하고 혁신적이며 포용적인 AI를 위한 서울 선언'에 대한 산업계의 화답이다. 서약에는 AI의 책임·발전·혜택 등 AI 선도 기업이 추구해 나갈 방향에 대한 자발적 약속을 담았다.

글로벌 14개 AI 기업은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AI 글로벌 포럼' 개막식에서 '서울 기업 서약'을 발표했다. 참여 기업은 △구글 △LG AI 연구원 △세일즈포스 △KT △MS(마이크로소프트) △삼성전자 △앤트로픽 △SK텔레콤 △IBM △네이버(NAVER) △코히어 △카카오 △오픈AI △어도비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은 서울 기업 서약을 발표하며 "AI 안전 연구와 협업을 강화하고,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워터마크로 식별 조치하는 등 국제 표준 개발을 위한 협력을 강화할 것을 약속했다"며 "지속가능한 AI 발전과 혁신을 위해 최첨단 AI 모델에 투자하고 전문 인재를 양성하며, 공평한 AI 혜택을 보장하기 위해 사회적 약자 등을 위한 서비스 출시·난제 해결을 위한 AI 솔루션 개발 등 다양성과 포용성을 증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한덕수 국무총리는 축사를 통해 "안전·혁신·포용은 AI 서울 정상회의와 AI 글로벌 포럼의 우선 주제"라며 "안전성은 세계 시장에서 (AI의) 지속가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머니투데이

앤드류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AI(인공지능) 글로벌 포럼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기업 서약 발표 후 AI 4대 천왕 중 한 명인 앤드류 응 스탠퍼드대 교수와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창업자 마크 레이버트의 기조강연이 이어졌다. 강연에 앞서 생성형 AI로 작곡한 AI 글로벌 포럼 주제곡을 들려준 응 교수는 "생성형 AI는 교육·비즈니스·법률 등 많은 분야에서 큰 영향을 주고 있기에, AI를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기업이 근로자 교육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응 교수는 AI가 급속도로 발전하는 상황에서 "혁신과 안전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정부는 AI 기술이 아니라 AI 관련 앱을 규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LLM(초거대언어모델)로 챗봇도, 정치 딥페이크도 만들 수 있다며 기술 그 자체보다 이를 나쁘게 사용하는 쪽을 제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AI 서울 정상회의와 함께 열린 'AI 글로벌 포럼'은 AI의 안전한 활용과 AI 거버넌스 체계 개발을 위한 방안 모색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리나라와 영국이 공동 개최한 'AI 서울 정상회의'와 달리 우리 정부가 단독으로 주최하는 행사다. 아침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되는 포럼은 오전 '고위급 라운드 테이블'과 오후 '전문가 세션'으로 구성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UN(국제연합) 총회·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등에서 글로벌 AI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제안한 행사다. 이날 아침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되는 포럼은 오전 '고위급 라운드 테이블'과 오후 '전문가 세션'으로 구성됐다.

비공개로 진행되는 '고위급 라운드 테이블'은 △AI 혁신의 미래 탐색 :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모델이 핵심인가? △포괄적인 안전 거버넌스 : AI 위험의 전 범위 식별 및 대응 △AI의 혜택 공유 및 거버넌스 체계의 포용성 강화 3가지 세션으로 마련됐다.

△디지털 공동번영 사회를 위한 디지털 권리 보장 △AI의 기회 및 혜택의 전 세계적인 확산 두 가지 세션으로 진행되는 오후 전문가 세션은 국민들이 청취할 수 있도록 유튜브로 생중계할 예정이다.

포럼에는 앤드류 응 교수와 제이슨 권 오픈AI CSO(최고전략책임자)·나타샤 크램튼 MS(마이크로소프트) AI CRAIO(최고책임자)·톰 루 구글 딥마인드 부사장·롭 셔먼 메타 최고 CPO(개인정보보호책임자)·잭 클락 앤스로픽 공동창업자·크리스티나 몽고메리 IBM 최고개인정보보호·신뢰책임자,·사바스티안 나일스 세일스포스 CLO(최고법률책임자)·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연구소장·오혜연 KAIST 교수·이상호 카카오 CAIO(최고AI책임자)·이홍락 LG AI연구원 CSAI(최고AI과학자)·최경진 가천대 인공지능 빅데이터 정책연구센터장·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 등이 참여한다.

이번 포럼의 아젠다와 참석자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한님 기자 bhn25@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