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8 (수)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기업부채 2734조, 연평균 8%씩 증가… 부동산 쏠림 심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동산 활황에 대출 확대 영향

분야별 리스크 대책 마련 필요

국내 기업부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을 거치면서 연평균 8%씩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동산 부문의 빚이 크게 확대되면서 분야별 리스크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0일 공개한 ‘우리나라 기업부채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부채는 2023년 말 2734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8년부터 6년간 1036조원이 늘어난 수치로 이 기간 연평균 명목 경제성장률(3.4%)을 웃도는 8.3% 수준의 증가세를 지속한 셈이다. 명목 성장률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2017년 말 92.5%에서 2023년 말 122.3%까지 치솟았다.

세계일보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고서를 작성한 류창훈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과장은 “2010년대 중반 이후 부동산 활황을 배경으로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신용공급이 확대된 것이 기업부채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려고 개인사업자 등에 대한 금융지원 조치가 지속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기업부채가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높지 않은 부동산 부문에서 크게 확대된 점을 위험 요소로 지적했다.

류 과장은 “향후 기업부채는 총량 지표 등을 통해 경직적으로 관리하기보다 부문별로 관련 리스크를 줄여나가는 데 초점을 두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부실 우려가 높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에 대한 질서 있는 구조조정을 통해 점진적인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미영 기자 mypar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