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3 (목)

“기술보증서 있으니까 대출 좀” 유령회사 설립 후 100억 꿀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어플 제작 내세워…실사 대비 위장사무실
경기남부청, 8명 구속·85명 불구속 송치


매일경제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사진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개발 사업계획서를 내세워 기술보증기금으로터 기술보증서를 발급받은 후 은행에서 100억 원대 대출사기를 벌인 일당이 검거됐다.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사기, 범죄집단조직 활동, 대부업 위반 등의 혐의로 17명을 검거해 A씨(35)등 8명을 구속하고, 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17일 밝혔다.

경찰은 이들과 공모해 은행에서 대출받은 혐의(사기)로 대출명의자이자 유령업체 대표인 76명을 불구속 입건해 검찰에 송치했다.

A씨 등은 2019년 10월부터 2023년 4월까지 기술보증기금으로터 발급받은 기술보증서로 시중 은행에서 100억여 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는다.

기술보증기금은 기술보증기금법에 의해 설립된 정부 출연기관으로, 기술 혁신형 기업을 상대로 기술보증을 한다. 연간 보증 규모는 28조원 상당이다.

A씨 등은 앱 개발업체를 가장한 기업을 설립하고, 신용도가 낮아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대출을 받을 수 없는 사람 103명을 모집한 후 이들 명의로 각각의 유령 회사를 세웠다.

이어 중고 거래, 반려견, 배달, 쇼핑 등 관심을 끌 만한 앱을 제작할 것처럼 허위의 사업계획서와 PPT 자료 등을 기술보증기금에 제출한 후 기술보증서를 발급받았다.

기술보증서를 받은 은행은 이들에게 돈을 빌려줬다. 대다수는 손쉽게 보증받아 은행에서 대출받았다.

대출받은 자금은 A씨 등과 대출명의자가 통상 반반씩 나눠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최대 1억원의 보증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인 ‘원클릭 보증’을 이용해 범행했다.

원클릭 보증은 대면 상담이 먼저 이뤄지는 통상의 기술보증서 발급 과정과 달리 체크리스트 등 작성한 서류를 디지털 영업점에 제출하는 비대면 절차로 시작돼 비교적 간소하다.

A씨 등은 대출명의자들에게 위장사무실을 만들게 하고, 예상 질문지를 주는 등 기술보증기금 측 현장 실사에 대비토록 했다.

하지만 일부는 기술보증서 발급이 거절돼 범행에 성공하지 못했다.

A씨 등의 범행 기간인 3년여간 나간 원클릭 보증 규모는 1조원 상당으로, 현장 실사까지 하더라도 모든 사기 범행을 완벽하게 막아내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A씨가 설립한 회사를 통해 이 같은 ‘작업 대출’을 해 본 조직폭력배 출신 B씨(37·구속)는 2021년 7월 그 역시 앱 개발업체를 가장한 기업을 설립한 뒤 대출 사기를 벌였다.

B씨는 기술보증기금에서 기술보증서를 발급받지 못하게 될 경우 대출명의자들에게 “(허위 사업계획서 작성 등) 작업을 하느라 많은 시간과 돈이 소요됐다”며 수천만 원을 갈취하기도 했다.

경찰은 지난해 2월 범죄정보팀으로부터 첩보를 받아 1년 넘는 수사 끝에 A씨 등 93명을 잇달아 검거했다.

조사 결과 A씨의 기업에 소속돼 상담책, 자금조달책 등으로 일한 이들 중 5명은 수도권 지역 조폭인 것으로 확인됐다. 나이대는 30대로, 이른바 MZ 조폭이다.

경찰은 아직 검거하지 못한 대출명의자 27명에 대해 추적하는 한편, A씨 등이 얻은 범죄이익에 대해 기소 전 몰수·추징 보전을 신청해 수익을 동결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이번 사건에서 발견한 기술보증서 발급 과정의 허점 등에 대해 관계기관에 개선 방안을 제안할 것”이라며 “공적자금을 부실화하는 편취 행위에 대해 엄정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