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고령친화도시’ 잰걸음 경기 지자체…대도시 고령화도 가속 [밀착 취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기도 내 시·군들이 급증하는 노인 인구에 대응하기 위해 잰걸음을 걷고 있다. 고령화로 노인 인구 비중이 늘면서 일자리 창출과 안전한 주거환경 마련 등 지속가능한 복지 정책을 펼치는 데 무게를 뒀다.

7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해당 도시들은 노인복지 증진을 위한 지자체의 의지와 실천과제를 선언하기 위해 앞다퉈 지역별 사안을 담은 관련 조례 제정에 나섰다. 조례에는 노인 건강 실태 조사, 사회 문화활동 장려, 고용 촉진 및 소득 지원, 노인 일자리 전담기관의 설치 운영, 노인복지시설 확충 및 지원 등의 내용이 담겼다.

세계일보

경기도의 노인통계. 경기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자체들이 이처럼 분주하게 움직이는 건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반작용으로 풀이된다. 유엔(UN)은 만 65세 이상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화 사회로 분류하는데, 도내 31개 시·군 모두 2020년을 전후해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연천(31%), 가평(30%), 양평(29.4%), 여주(25.3%), 포천(24.3%), 동두천(24.1%), 안성(20.2%)의 7개 시·군은 아예 초고령사회에 이름을 올렸다.

이로 인해 인구 100만 안팎 대도시를 중심으로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했거나 인증을 서두르고 있다.

세계일보

용인시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용인시는 WHO에 국제네트워크 가입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WHO는 세계적 고령화, 도시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2006년부터 이 네트워크를 추진했는데, 교통·주거·여가·사회활동·시설 등 8개 영역에서 기준을 충족해야 가입이 허락된다.

올 9월 인증을 목표로 하는 용인시는 지난해 시정연구원에서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한 뒤 최근 기본계획 수립을 마쳤다. 2년 전에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조례도 제정했다. 시는 인증 추진과 함께 일자리 확대, 맞춤 돌봄, 치매 지원 등 55개 사업을 3년간 이어갈 예정이다.

세계일보

수원시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내에선 2016년 수원시가 국내 세 번째로 WHO의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한 바 있다. 기초지자체이지만 서울(2011년), 부산(2015년)에 이어 이름을 올렸다. 2019년 재인증을 거친 수원시는 내년 세 번째 인증을 위해 중장기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시는 올 11월쯤 관련 보고서를 WHO에 제출할 계획이다.

수원시는 노인이 건강하고 활력 있는 고령친화도시 건설을 목표로 한다. 또 지자체 정책 및 인프라 조성 등을 강조하며 노인복지·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일정 시기마다 의무적으로 수립하는 내용을 관련 조례에 담고 있다. 기본계획 수립과 이행 등을 심의할 노인복지정책위원회의 구성 등도 주요 내용 중 하나다.

세계일보

성남시의 WHO 고령친화도시 인증 선포식. 성남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성남시는 1년여의 준비 기간을 거쳐 2021년 WHO의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했다. 이를 위해 2019년 관련 조례를 제정한 뒤 노인실태조사와 연구용역 등을 마쳤다. 대학생, 직장인, 어르신 등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된 30여명의 고령친화도시 모니터링단도 운영했다.

도내 북부지역에선 올해 2월 포천시가 처음으로 WHO의 국제네트워크 인증을 받았고, 5월에는 구리시가 대열에 합류했다.

세계일보

이천시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령친화도시 인증을 추진 중인 이천시의 경우 인구의 15.5%(3만6189명)에 달하는 노인들을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응급안전 안심 서비스를 마련하는 등 올해에만 1700억원대 예산을 편성했다.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