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외 1370.3원…2.6원 하락 출발 전망
1분기 미 GDP 1.6% 성장, 예상치 하회
1분기 미 PCE 3.4% 상승, 예상 상회
연준 첫 금리인하 11월로 밀려…1회 인하 그칠 듯
‘155엔 돌파’ 후에도 약세 지속…개입 경계감 고조
장 마감 후 3월 미국 PCE 가격지수 발표
사진=AFP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6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370.3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2.10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375.0원) 대비 2.6원 하락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간밤 발표된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월가 예상치를 크게 밑돈 가운데 1분기 개인소비지출(PCE) 상승폭은 컸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미국의 GDP 증가율(속보치)은 연율 1.6%로 집계됐다. 작년 4분기(3.4%) 대비 성장률이 둔화한 것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예상치(2.2%), 다우존스 컨센서스(2.4%)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다.
GDP 성장률과 함께 발표된 1분기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3.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 분기 수치인 1.8%를 웃도는 수준이고, 최근 일 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었다. 경제성장률이 예상치를 밑돌았으나 인플레이션 지표는 견조하게 나오면서 스태그플레이션 공포가 커졌다.
시장은 경기 둔화 가능성보다는 인플레이션 가속화에 주목하며 금리인하 시점을 11월로 늦추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연준이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91.0%로 보고 있다. 7월 금리인하 가능성은 30.7%, 9월 인하 가능성은 58.4%로 낮아졌다. 11월 금리인하 가능성도 67.8% 수준이다. 올해 단 한 차례의 인하만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1분기 GDP 성장률에 대한 실망으로 국채금리는 다시 치솟았다. 글로벌 국채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4.8bp(1bp=0.01%포인트) 오른 4.702%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 처음으로 4.7%를 돌파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도 5.8bp 오른 4.995%에서 거래됐다.
달러화는 보합 수준이다. 달러인덱스는 25일(현지시간) 오후 7시 17분 기준 105.58을 기록하고 있다. 달러·위안 환율은 7.25위안대, 달러·엔 환율은 155.59엔에서 거래되고 있다.
BOJ는 전날부터 이틀간 금융정책위원회 회의를 진행 중이다. 앞서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가 엔저를 방어하기 위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내비친 만큼, 이번 회의에서 관련 논의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시장에선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엔화 약세 관련해 전보다 강한 구두개입과 실개입이 나올 수 있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시간으로 이날 저녁 9시반께 3월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발표된다. 컨센서스는 전년 동월 대비 헤드라인 PCE 2.6% 상승하고, 전월대비로는 2.5% 상승이 예상된다. 근원 PCE는 전년 대비 2.7%, 전월 대비 2.8%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가 발표된 이후 연준의 금리인하 전망이 후퇴해 있어, 헤드라인 물가 상승률이 전월대비 높아지더라도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