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1 (수)

윤 대통령님, 하고 싶은 것 빼고 다 하세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1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국무회의 생중계 머리발언을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황준범 | 정치부장



윤석열 대통령이 총선 참패에 “죄송하다” “잘못했다”고 했다는데, 국민들은 윤 대통령이 그 말을 어떤 얼굴로 어떻게 했는지 알지 못한다. 정작 생중계된 국무회의 앞부분 12분 동안에는 하지 않은 말을, 윤 대통령이 나중에 했다고 대통령실 참모가 기자들에게 전했을 뿐이다.



윤 대통령은 생중계 카메라 앞에서는 말 못 하다가, 편한 자리에서 내심을 드러냈다는 걸까. 아니면 생중계 발언만으로는 부족하다고 깨닫고 ‘이 정도가 더 있어야 한다’며 뒤늦게 추가한 걸까. ‘국무회의 마무리 발언과 참모진 회의에서’ 그런 발언이 있었다는 설명은 또 무슨 뜻인가. 어느 경우든 큰 의미는 없다. 대통령은 메시지 전달에 실패했고, 국민은 무례를 당했다.



우리는 지난 2년을 거치며 확실히 알게 되었다.



첫째, 윤 대통령이 앞에 나서면 상황이 호전되는 게 아니라 악화한다. 김건희 여사의 디올백 수수를 “박절하지 못해 아쉽다”고 했던 2월 한국방송(KBS) 대담이 그랬고, 대화보다 결전 의지를 드러낸 4월1일 의대 증원 관련 51분 담화가 그랬으며, 이번 총선 참패 메시지가 그러했다. 윤 대통령은 시간을 끌다가 힘겹게 나서지만, 그때마다 국민들의 기대와 상식을 벗어나, 화를 돋운다.



둘째, 윤 대통령의 소통 능력은 딱할 지경이다. 소통과 거리가 먼 방식으로 소통을 말하고, 상대가 듣고 싶은 말이 아니라 본인이 하고픈 말을 한다. 윤 대통령은 16일 “소통을 강화하겠다”면서도 일방적 형식을 택했고, ‘공개 발언’과 ‘비공개 발언’이 뒤섞여 핵심도 혼란스럽다. 또 정책을 하나하나 열거하면서 ‘최선을 다했지만 국민이 체감하기에 부족했다’고 했는데, 방점은 ‘성찰’에 있나, ‘성과 환기’에 있나.



셋째, 윤 대통령은 변하지 않는다는 국민들의 인식도 굳어지고 있다. 윤 대통령이 자세를 낮췄던 모습은 자주 있었다. 2022년 여름, 취학연령 하향 논란 등으로 취임 석달 만에 지지율이 20%대로 추락했을 때 윤 대통령은 “제가 해야 할 일은 늘 초심을 지키면서 국민 뜻을 잘 받드는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10월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 뒤 “국민은 늘 옳다”고 했고, 이번에도 “민심을 경청하겠다”고 했다.



1년8개월 전 이 자리에 “다음 총선을 ‘윤석열’로 치를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을 쓴 적 있다. 당시 글에서 총선 출마 뜻을 지닌 여당 인사들은 “윤 대통령 태도가 안 바뀔 것 같고, 김건희 여사와 그 주변 통제도 잘 안될 거 같다” “이 상황이면 윤 대통령 내걸고 선거 못 나간다”고 했다. 시간은 이들의 말대로 흘렀고, 윤 대통령은 임기 전체를 여소야대 국회와 함께하는 최초의 대통령이 됐다. 윤 대통령이 지난해 초 말했던 “거의 식물 대통령” 상황이다.



남은 3년, 윤 대통령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탄핵·개헌 저지선은 지켰다지만, 윤 대통령 뜻대로 국회에서 할 수 있는 건 거의 없다. 새 국회에서의 여당 108석은, 윤 대통령 중심으로 총선을 바라보며 어쨌거나 함께 달려온 지금까지의 114석과는 비교할 수 없이 허약한 숫자다. 여당 내 윤 대통령 구심력은 가파르게 줄어들 것이다.



그렇다고 ‘아무것도 하지 마시라’ 하기엔 남은 시간이 길다. 믿음도 기대도 내려놓은 국민들의 마음을 지금이라도 다시 얻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걸 하는 수밖에 없다. 국정 운영의 상당 부분을 국회로 넘겨서 여야 타협의 정치에 맡겨야 한다는 의견들이 많다. 야당 대표를 만나 국정 전반에 관해 대화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파격적 야권 인사 기용도, 그렇게 윤 대통령의 진정성이 확인된 뒤에야 가능할 것이다. 그동안 여당 대표들을 맘대로 갈아치웠던 윤 대통령이 이제는 여당의 주도권을 인정하는 것 또한 필수적이다. 윤 대통령의 ‘공정’ 의지와 ‘변화’의 진정성을 시험할 ‘채 상병 특검법’이나 ‘김건희 특검법’의 시간도 다가오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듣기 어려웠던 ‘윤 대통령 임기단축 개헌’ 같은 얘기가 이제는 제도권에서 진지하게 거론된다. 윤 대통령이 이번에도 국민들 분노와 절망만 키운다면 또 어떤 얘기들이 공론장에서 불붙을지 모른다.



jaybee@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