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한성백제박물관, '바닷길에서 찾은 보물' 展
태안 대섬·마도 해역서 찾은 고려청자·백제 토기·기와 83점
주꾸미와 청자 |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2007년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작업하던 한 어부는 고개를 갸웃거렸다. 그의 눈에 들어온 건 푸른 접시를 안고 있는 주꾸미.
언뜻 봐도 예사롭지 않은 푸른 빛이었다.
이를 계기로 2007∼2008년 조사가 시작됐고 접시, 그릇, 뚜껑 있는 잔, 주전자, 향로, 벼루 등 귀한 고려청자 2만여 점이 줄줄이 나왔다. 그야말로 '청자 보물선'의 발견이었다.
특히 두꺼비가 머리를 들고 다리를 웅크린 모양의 벼루, 활짝 벌린 입에 후박한 갈기가 돋보이는 사자 모양 향로는 고려인의 미적 취향을 보여주는 귀한 자료로 꼽힌다.
태안선에서 나온 '탐진'명 목간 |
태안 바다에서 찾아낸 '보물'이 서울 나들이에 나선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한성백제박물관은 이달 23일부터 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바닷길에서 찾은 보물' 전시를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태안군 대섬과 마도 해역에서 수중 발굴한 유물 가운데 보물로 지정된 12∼13세기 고려청자 7점을 포함해 백제 토기 조각, 기와 등 총 83점을 모은 전시다.
주꾸미의 도움으로 찾아낸 '태안선'부터 마도 1·2·4호선의 대표 유물을 만날 수 있다.
전시는 옛사람들이 바다와 강에 남겨놓은 흔적, 수중 문화유산을 설명하며 시작된다.
보물 고려청자 및 죽찰 |
흔히 수중 문화유산은 '과거에서 온 타임캡슐'로 일컬어진다. 산소가 없는 물속 바닥에는 미생물이 살지 못해 바닥에 가라앉은 유적과 유물이 비교적 오랫동안 보존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수중고고학의 역사와 세계 각국의 수중 발굴 사례, 동아시아 해상교역의 중심 항로로서 서해와 태안 지역이 갖는 역사적 의미 등이 소개된다.
전시에서는 '바닷속 경주'로 떠오른 태안 일대의 수중 발굴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태안 앞바다는 과거 무역선이나 사신을 태운 배 등이 머물던 곳으로 서해의 중요한 항로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조류와 암초, 복잡한 해저 지형 때문에 지나기 어려운 길목이었다.
연구소에 따르면 지금까지 태안 앞바다에서는 총 5척의 난파선이 발견된 바 있다.
태안 마도 해역에서 나온 백제 기와 |
고려시대의 배인 태안선에서 발견한 참외 모양 주전자, 마도 인근 해역에서 찾은 국화무늬 접시와 꽃 모양 사발, 죽찰(竹札·대나무 조각 위에 글씨를 쓴 것) 등이 전시에서 공개된다.
최근 마도 해역에서 찾아낸 백제 관련 유물도 주목할 만하다.
지붕의 고랑이 되도록 젖혀 놓는 기와인 암키와 조각, 토기 조각 등은 현재로서는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으나, 해상 활동 과정에서 남겨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 관계자는 "수중에서 발굴한 보물 고려청자와 마도 해역에서 발굴한 백제시대 토기·기와 등을 한데 모아 처음으로 선보이는 전시"라고 설명했다.
마도 해역에서 나온 백제 토기 |
보물 청자를 한자리에 모은 '신출귀물'(新出貴物)은 전시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부분이다.
흰색과 검은색의 반점이 돋보이는 보물 '청자 퇴화문 두꺼비모양 벼루'는 출토지와 제작 시기가 비교적 정확하고, 현재까지 발견된 유일한 두꺼비 형태 벼루로 가치가 크다.
마도 2호선에서 발견된 청자 매병은 죽찰 기록으로 볼 때 술이 아닌 참기름과 꿀을 담아 보내는 고급 용기로 쓰인 것으로 보여 주목할 만하다.
전시는 5월 19일까지 볼 수 있다.
전시 포스터 |
y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