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저비용항공사, 수하물 요금 잇단 인상 “여름 휴가는 어떻게 가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름철 성수기를 앞두고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잇따라 수하물 요금을 올리고 있다. 고물가 시대 국내와 해외여행을 계획하던 소비자들은 추가 항공료 부담에 울상이다.

1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진에어는 오는 7월 1일부터 초과 수하물 요금을 인상한다. 초과 수하물은 기본(무료)으로 제공하는 위탁·기내 수하물의 중량을 넘어서는 것을 말한다.

진에어는 현장 구매 초과 수하물에 대해 대부분 노선에서 1㎏당 10000원씩 인상한다. 또 사전구매 초과 수하물에 대해서는 5㎏당 국내선은 2000원, 대부분 국제선은 5000원씩 올린다. 사전구매란 출발 24시간전 온라인으로 미리 위탁·탁송 수하물을 구매하는 서비스로 현장보다 가격이 싸다.

LCC 1위 기업인 제주항공은 지난 3월 4일부터 수하물 요금을 인상했다. 15㎏ 수하물의 온라인 사전구매 시 국내선은 5000원, 일본 노선 등은 1만원씩 올렸다.

이스타항공은 오는 8월부터 모든 항공편의 수하물 요금을 상향 조정한다. 수하물 사전구매 시 기본 15㎏을 제공하지만 추가 5㎏당 국내선은 기존 8000원에서 1만원으로, 일본 노선은 3만5000원에서 4만5000원으로 올린다. 현장 구매 추가 수하물에 대해서는 1㎏당 국내선의 경우 1000원, 동남아 노선의 경우 2000원을 인상한다.

에어서울은 지난 1일부터 초과 수하물 요금을 일부 올렸다. 일반 운임일 경우 사전구매는 5㎏당 일본 노선은 3만5000원에서 4만원으로, 동남아 노선은 5만5000원에서 6만원으로 조정됐다.

LCC업계는 수하물 요금 인상은 물가, 유가, 인건비 상승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수하물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항공유 소모량이 늘고 수하물 처리를 위한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기 때문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2015년 이후 9년 만에 수하물 요금을 처음 올렸다”면서 “유가, 인건비 상승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말했다.

코로나 엔데믹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도 수하물 요금 인상의 요인이다. 특가 프로모션 등 악화하는 수익성을 수하물 등 부가서비스로 만회할 수밖에 없어서다.

국토교통부 항공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항공사가 공급한 국제선 좌석은 총 2281만석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46.6% 증가했다.

경향신문

제주항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유미 기자 youme@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