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그대, 봄을 품은 창덕궁으로 가보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1일까지 수~일요일 인정전 개방

봉황 부조에 ‘일월오봉도’ 찬찬히

22~28일 낙선재 관람 프로그램도

봄꽃 핀 뒤뜰, 해설과 함께 둘러봐

동아일보

봄을 품은 창덕궁 상량정으로 들어가는 현문(오른쪽)과 낙선재(왼쪽).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겨우내 굳게 닫혀 있던 창덕궁의 창과 문이 활짝 열려 있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가 5∼16일 궁궐에 자연 채광을 들이고 통풍을 시키는 ‘창덕궁 빛·바람 들이기 행사’를 열었다. 봄바람이 솔솔 드나드는 창호(窓戶)를 통해 그림 같은 전각 내부가 들여다보였다.

봄을 맞은 창덕궁은 평소 보기 힘들던 모습을 관람객에게 보여주고 있다. 인정전(仁政殿) 내부가 대표적이다. 1985년 국보로 지정된 인정전은 창덕궁 중심 건물로 즉위식을 비롯해 조선 조정(朝廷)의 공식 행사가 열렸던 곳이다. 문화재청은 31일까지 매주 수∼일요일 인정전 내부를 관람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인정전 내부에 들어서면 위아래가 확 트인 통층 형태를 실감할 수 있다. 천장 중앙에는 나무로 된 봉황 모양 조각이 왕의 권위를 보여준다. 평소 밖에서는 도저히 관람할 수 없는 천장 장식도 볼 수 있다. 인정전 안쪽 깊숙이 자리 잡은 어좌(御座·임금 자리) 위 봉황 부조다. 봉황 한 쌍이 구름 속을 날고 있는 모습이다. 해와 달, 다섯 개 산봉우리, 폭포, 소나무, 파도를 그린 어좌 뒤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도 찬찬히 관람할 수 있다.

이명선 창덕궁관리소장은 “인정전은 아파트로 치면 11층 높이에 해당하는, 250년 된 목조 건물”이라며 “샹들리에와 커튼 같은 외래 문물도 받아들여 조선부터 근대까지 이어지는 스토리를 볼 수 있는 귀한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창덕궁 후원 부용지(芙蓉池)도 봄맞이가 한창이다. 16년 만에 연못 속 나뭇잎과 뻘을 걷어내고 석축을 손보는 작업을 하고 있어 물 빠진 부용지를 볼 기회다.

22일부터 28일까지는 ‘봄을 품은 낙선재’ 관람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낙선재(樂善齋)는 조선 24대 임금 헌종 13년(1847년)에 왕의 사적 공간으로 지어졌다. 낙선재 건물을 기준으로 우측에는 석복헌과 수강재, 뒤편에는 각종 화초와 화계(花階·계단식 화단)가 있는데 이를 통칭해 낙선재라고 부른다. 덕혜옹주를 비롯해 조선 왕실 후손들이 생을 마감한 곳이기도 하다. 봄을 품은 낙선재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평소 개방이 잘 안 되는 석복헌과 수강재 일원 봄꽃 핀 뒤뜰을 둘러보며 해설을 들을 수 있다.

화려하게 치장한 다른 건물들과 달리 낙선재는 단청을 생략해 단정하고 격조 있는 기품으로 봄꽃들을 빛낸다. 낙선재는 화계 모란과 주변 매화가 특히 유명하다. 낙선재 후원 담장 서편 만월문에서 보이는 상량정과 취운정 동편 작은 문에서 보이는 창경궁 정경이 아름답기로 소문나 있다.

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