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통도사·송광사·직지사·화엄사·법주사 등의 천왕문, 보물 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화재청, 조선 후기 천왕문·금강문 8건 보물 지정 예고…“역사적·학술적 가치 커”

경향신문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이 예고된 ‘순천 송광사 사천왕문’.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에 건립 또는 중창된 천왕문, 금강문 등 전국 사찰의 산문 8건이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완주 송광사 금강문’ 등 17~18세기에 걸쳐 건립 및 중창된 8건의 금강문, 천왕문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16일 밝혔다.

금강문과 천왕문은 조선시대 사찰의 삼문(三門) 체계가 성립되면서 나타나는 사찰 진입부의 출입문 건축물이다. 첫 번째가 일주문이며 금강문~천왕문이 이어진다. 금강문은 부처님의 가람과 불법을 수호하는 금강역사를 모신 문, 천왕문은 가람수호와 악귀 퇴출로 청정도량 유지를 위한 사천왕상을 봉안한 문이다.

경향신문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이 예고된 ‘완주 송광사 금강문’.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완주 송광사 금강문’(전북 완주군)은 1649년(인조 27) 이전에 건립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미 보물로 지정된 대웅전과 종루의 형태와 유사해 건립연대 추정을 뒷받침하며, 독창적 지붕 등은 건축사적·역사적 가치도 크다는 평가다.

‘보은 법주사 천왕문’(충북 보은군)은 정유재란 이후 법주사 재건이 이뤄지던 17세기 초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정면 5칸·측면 2칸으로 현존 천왕문 중 가장 크고 넓다. 또 한국에서 규모가 제일 큰 소조사천왕(보물)이 각각 2구씩 4구가 안치돼 있다.

‘양산 통도사 천왕문’(경남 양산시)은 1713년(숙종 39)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그 다음해인 1714년에 중건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사찰 산문들 가운데 건립 연대가 명확한 보기 드문 사례다. 조선 후기 사찰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라는 평가다.

경향신문

보은 법주사 천왕문(위)과 양산 통도사 천왕문.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순천 송광사 사천왕문’(전남 순천시)은 1612년(광해군 1) 중창된 사실이 문헌기록으로 확인돼 역사적 가치가 크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맞배지붕 건물로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중건 당시의 건축적 특징과 위치를 잘 유지하고 있기도 하다. 특히 인조 대에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전국의 사찰을 중건한 것으로 유명한 벽암각성(1575~1660)과 스승인 부휴선사(1543~1615)의 조성 계보를 잇고 있어 학술적 가치도 높다.

경향신문

구례 화엄사 천왕문(위)과 영광 불갑사 천왕문.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례 화엄사 천왕문’(전남 구례군)은 고려 후기에 처음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임진왜란 이후 소실됐다. 이후 1636년(인조 14)에 벽암각성에 의해 중창됐다. 정면 3칸·측면 3칸,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며 1630년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소조사천왕상(보물)이 봉안돼 있다. 특히 벽체는 독특하게 목재 판벽과 회벽을 혼용하고 있다.

‘영광 불갑사 천왕문’(전남 영광군)은 기록을 통해 1725년(영조 1)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확인된다. 여러 차례 보수 및 이전에도 불구하고 건립 당시의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건물 내부 중앙에 기둥(심주)을 설치하는 등 건축적으로 독특한 구조를 지녀 학술적 가치도 크다.

경향신문

포항 보경사 천왕문(위)과 김천 직지사 천왕문.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포항 보경사 천왕문’(경북 포항시)은 1679년(숙종 5) 중창한 후 1761~1767년(영조 37~43)에 중건한 것으로 확인된다. 17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이뤄진 사찰 천왕문의 조성, 또 시기적 변화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다. 정면 3칸·측면 2칸의 단층 팔작지붕이며, 정면 가운데 기둥 밑부분에 기둥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한 목부재(신방목)에 사자상이 조각돼 있다.

‘김천 직지사 천왕문’(경북 김천시)은 1596년(선조 29) 임진왜란 때 왜적의 방화로 절의 건물들이 대부분 소실됐으나 천불전, 자하문과 함께 피해를 입지 않았다. 이후 1665년(현종 6) 사천왕상을 새로 조성하기 이전에 중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면 3칸·측면 3칸으로 보은 법주사 천왕문 다음으로 큰 규모이며, 소조사천왕상(보물)이 봉안돼 있다.

문화재청은 “보물로 지정 예고된 8건의 산문은 전국 사찰의 산문 50여 건을 일괄 조사한 후 관계 전문가 회의와 문화재위원회 검토를 거쳐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를 높게 평가받은 건축물들”이라며 “예고 기간 30일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로 최종 지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재기 선임기자 jaekee@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