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단독]‘화성 참사’ 공장 인력공급 업체, 무허가 파견업체로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아리셀 박순관 대표가 25일 경기 화성 1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 사고 현장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3명의 목숨을 앗아간 사고가 난 경기 화성시 1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이 무허가 파견업체로부터 노동자를 공급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인력파견업체 메이셀 관계자는 25일 기자와 통화하면서 “메이셀은 직업소개업 등록을 하지 않았고, 파견 허가도 없다. (새롭게 사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나서 법에는 저촉될 것 같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도 박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메이셀은 직업소개업 등록이 되어 있지 않고, 파견 허가도 얻지 않았다고 답했다. 메이셀이 파견 허가를 가지고 있다 해도 제조업 직접생산공정은 파견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불법파견에 해당한다.

노동부가 작성한 ‘중대재해 동향보고’를 보면 참사가 발생한 사업장 원청업체는 아리셀, 하청업체는 메이셀이다. 하청업체인 메이셀의 업종은 1차전지 제조업이며 주소는 아리셀과 같다. 외형상으로는 인력파견업체가 아니라 사내하도급업체인 것처럼 꾸며둔 것으로 보인다.

메이셀 관계자는 “사업자 등록을 제조업으로 하고 주소지를 아리셀 공장으로 해둔 것일 뿐 아리셀로부터 도급을 받은 것은 아니다”며 “우리는 인터넷으로 공고를 내 사람을 모은 뒤 공급만 한다. 아리셀 관리자가 (우리가 공급한 인력을) 통솔한다”고 말했다. 메이셀은 사고 당일인 지난 24일 50명가량의 인력을 공장으로 보냈다고 설명했다.

아리셀 측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회사 고용구조와 관련해 파견과 도급이라는 단어를 혼용해 사용했다. 박중원 아리셀 본부장은 사망자들의 고용형태에 대해 “파견이다. 도급이다”고 말했다. 박순관 아리셀 대표는 “도급계약을 맺고 있다”고 하면서 메이셀과 엇갈리는 언급을 하기도 했다.

아리셀 주장대로 메이셀과 도급계약을 체결했다 해도 메이셀은 원청의 지휘·감독을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아리셀은 파견법 위반 혐의를 받게 된다. 메이셀이 실질적으로는 원청인 아리셀에 인력만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면 불법파견이기 때문이다. 노동부는 메이셀이 아리셀과 도급계약을 체결한 하청업체인지, 인력파견업체인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

박순관 대표가 인력공급을 받은 회사명이 “한신 다이아”라고 한 것에 대해 메이셀 측은 “한 달 반 전에 업체명을 한신 다이아에서 메이셀로 변경했다”고 했다.

김지환 기자 bald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