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전국 아파트값 12주 연속 하락…하락폭은 소폭 축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에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전국 아파트값이 12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오늘(15일) 발표한 '2월 둘째 주(2월 12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보다 0.04% 하락하면서 12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하락 폭은 지난주(-0.06%)에 비해 다소 축소됐습니다.

수도권(-0.06%→-0.04%), 서울(-0.05%→-0.03%), 지방(-0.06%→-0.05%) 모두 낙폭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부동산원은 "서울과 수도권 일부 선호단지에서 가격이 소폭 상승했지만, 명절 연휴로 거래 문의가 한산한 가운데 관망세가 지속되며 급매물 위주로만 거래가 이뤄져 하락세가 이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서울에서는 오금·송파·장지동 역세권 단지 위주로 상승한 송파구(0.00%)와 중구(0.00%)가 하락세를 접고 보합 전환했습니다.

하지만 도봉구(-0.10%), 은평구(-0.06%), 중랑구(-0.05%), 관악구(-0.06%), 금천구(-0.05%), 서초구(-0.04%) 등 나머지 지역은 모두 하락했습니다.

경기에서도 대부분 지역이 하락세를 이어간 가운데 고양 덕양구(0.09%), 김포(0.08%), 평택(0.01%) 등 일부 지역은 광역급행철도(GTX) 노선 연장에 따른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덕양구와 평택은 3주째, 김포는 4주째 각각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인천에서는 서구(0.01%), 중구(0.04%) 등이 상승했습니다.

지방에서는 세종(-0.19%), 대구(-0.12%), 충남(-0.09%), 부산(-0.07%) 등이 비교적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제주(-0.06%), 경기(-0.05%), 경남(-0.04%), 충북(-0.04%), 전북(-0.03%) 등 대부분 지역이 하락했습니다.

다만 경북(0.00%)은 보합 전환했고, 강원(0.01%)은 상승했습니다.

매매시장과 달리 전세시장은 상승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2월 둘째 주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01% 오르면서 지난주(0.01%)와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지방 전세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03% 하락하면서 5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부동산원은 "매수 대기자가 전세로 눈을 돌리고 신학기를 대비한 이주 수요가 증가하면서 학군지, 역세권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서울은 평균 0.05%의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성동구(0.24%), 광진구(0.16%), 노원구(0.10%) 등이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그밖에 인천(0.06%), 대전(0.05%), 경기(0.04%), 전북(0.03%), 울산(0.02%) 등은 상승했고, 세종(-0.19%), 대구(-0.10%), 충남(-0.05%), 부산(-0.05%), 경북(-0.03%), 경남(-0.02%) 등은 하락했습니다.

한편, 부동산원이 이날 동시에 발표한 '1월 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매매가격지수는 전월에 비해 0.14% 하락하면서 작년 12월(-0.10%)에 이어 두 달 연속 내림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월간 기준으로는 수도권(-0.14%→-0.18%), 서울(-0.07%→-0.12%), 지방(-0.07%→-0.11%) 등 전 지역에서 모두 낙폭이 커졌습니다.

매매가격과 달리 전·월세가격은 상승추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난 1월 전국 주택 전세가격지수와 월세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각각 0.05%, 0.07%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다만 상승 폭은 전월(전세 0.12%, 월세 0.09%)에 비해 다소 축소됐으며, 지방 전세가격지수(-0.03%)는 하락 전환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노동규 기자 laborstar@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