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캠퍼스 방문·오찬에 이어
서울서 진행된 만찬도 함께해
삼성-오픈AI 협업 가능성 제기
최태원 SK회장도 출국전 만난듯
서울서 진행된 만찬도 함께해
삼성-오픈AI 협업 가능성 제기
최태원 SK회장도 출국전 만난듯
18일(현지시간) 2024 세계경제포럼이 열리고 있는 스위스 다보스에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왼쪽)가 제러미 헌트 영국 재무부 장관과 ‘급변하는 세계에서의 기술’ 세션에서 사회자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로이터 = 연합뉴스] |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설계·생산 관련 협업 파트너를 찾기 위해 지난 25일 저녁 한국을 찾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26일 아침과 저녁에 잇달아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을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19시간의 짧은 방한 기간 동안 올트먼 CEO가 경 사장을 두 차례 만난 것은 삼성전자와 오픈AI의 긴밀한 협력 가능성이 반영된 것이라는 시각도 제기된다.
26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이날 오전 경기 평택의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찾았다. 이 자리에는 경 사장과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박용인 시스템LSI사업부장·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도 참석했다. 이밖에 각 사업부 임원들도 총출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사진 = 삼성전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생산 노하우가 집약된 최첨단 시설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방문했던 곳이다. 현재 가동중인 1~3 공장에는 첨단 D램과 낸드, 파운드리 생산라인이 들어서 있다. 메모리와 시스템 반도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까지 이르는 삼성전자의 기술력을 단시간에 보여줄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다.
올트먼 CEO는 AI 반도체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다시피하는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자체 AI 반도체 개발을 추진중에 있다. 업계에서는 메모리반도체·칩 설계·파운드리까지 포괄하는 삼성전자가 최적의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트먼 CEO는 이날 삼성전자 경영진들과 범용 AI(AGI)칩과 메모리 반도체 공급, AI칩 설계 역량, 오픈AI의 새로운 AI 반도체 생산에 대한 투자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트먼 CEO를 맞이하기 위해 경 사장은 지난 25일 밤 10시경 일본 출장을 마치고 귀국했다. 경 사장은 일본에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업들 만나 공급망 협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 사장은 오픈AI와의 협업에 대해 묻는 매일경제의 질문에 “지금은 말할 수 있는 때가 아니다”라고 말을 아꼈다.
올트먼 CEO는 평택캠퍼스 방문 후 삼성전자 경영진과 오찬을 진행하고 서울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후에는 한국의 반도체 스타트업 관계자와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등 관계자를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도 오후 늦게 따로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 CEO [사진 = 삼성전자] |
올트먼 CEO는 이후 서울에서 진행된 저녁식사에서도 경계현 사장을 다시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올트먼 CEO가 한국 방문의 시작과 마무리를 경 사장과 함께 한 셈이다. 오찬 참석자가 삼성전자 DS부문 경영진이었다면, 만찬 참석자는 삼성 그룹 차원의 경영진이 됐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그만큼 삼성과 오픈AI가 협업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는 점을 서로 인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한편 올트먼 CEO가 한국을 찾아 ‘광폭행보’를 진행한 시점에 ‘AI칩 최강자’ 엔비디아와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TSMC의 수장이 회동에 나서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이날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대만을 방문 중인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현지 기자들과 만나 웨이저자 TSMC CEO와 저녁 식사를 했다고 밝혔다. 이 회동엔 모리스 창 TSMC 창업자도 함께한 것으로 전해졌다.
황 CEO는 “AI 분야에서 가장 큰 과제는 AI 반도체 물량을 확장하는 것”이라면서 “TSMC를 비롯한 모든 우리 공급망 파트너는 수요를 따라잡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올해는 대단한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AI 반도체 시장에서 두 기업의 관계는 긴밀하다. 현 생성형 AI 시장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가 90% 이상 독점하고 있다. TSMC는 엔비디아 AI칩 물량을 사실상 전량 생산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