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서울대병원, 중앙심뇌혈관 센터 지정…'응급실 뺑뺑이' 막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서울대병원이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로 28일 선정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병원이 향후 5년간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로 지정됐다. 중증·응급 심뇌혈관 환자의 '응급실 뺑뺑이' 사고를 막기 위한 네트워크도 꾸려졌다.

보건복지부는 28일 2023년 제3차 심뇌혈관질환관위위원회를 열고 이러한 내용을 담은 ‘심뇌혈관질환 문제해결형 진료협력 네트워크 건강보험 시범사업(진료협력 시범사업)’의 참여기관 선정안과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 신규 지정기관 선정안을 심의ㆍ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시범사업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중심으로 한 기관 간 네트워크와 책임 전문의를 중심으로 한 인적 네트워크로 나뉜다. 인적 네트워크는 급성심근경색증ㆍ급성 대동맥증후군ㆍ뇌졸중ㆍ급성심근경색증+급성 대동맥증후군으로 또다시 분류된다.

권역별 기관 네트워크 시범사업에는 강원, 대구ㆍ경북, 경기, 인천 등 7개 권역의 52개 팀이 참여한다. 예를 들어 강원 지역에서는 기반 권역센터인 강원대학교병원을 중심으로 한림대 춘천성심ㆍ강릉아산ㆍ삼척의료원ㆍ속초의료원ㆍ홍천 아산 병원 등 5개 병원이 한 팀이 돼 정보를 주고받으며 중증ㆍ응급 심뇌혈관질환 환자의 이송 병원부터 최종치료 병원까지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에 책임 전문의를 중심으로 한 인적 네트워크도 가동된다. 모두 52개 팀이다. 급성심근경색증의 경우 오성진 건보 일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를 책임 전문의로 17명의 전문의가 모인 팀이 경기 고양ㆍ파주ㆍ포천 지역을 담당하는 식이다. 서울 및 경기 동북부에선 김원 경희대병원 심장내과 교수가 책임 전문의를 맡아 22명의 전문의와 이 권역의 중증ㆍ응급 급성심근경색증 환자를 책임진다.

복지부는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 환자가 적절한 병원으로 빠르게 이송되지 못하거나 최초 이송병원에서 치료를 받지 못해 다른 병원으로 보내지는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를 막겠다는 입장이다.

진료 협력을 위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복지부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유보영 복지부 질병정책과장은 “내년 1~2월 중에는 개발해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5년간 심뇌혈관 질환 관련한 국가 표준을 마련하고 정부 정책을 발굴ㆍ지원할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로는 서울대학교 병원이 선정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서울대학교병원은 심뇌혈관질환 정책 2.0 기획단을 운영한 경험이 있고 권역 및 지역 센터와의 연계 계획 등이 좋은 평가를 받아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시범사업 참여 네트워크를 통해 심뇌혈관 질환 대응 사각지대를 보완하고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가 검증될 수 있게 됐다”며 "최소 1000여명 넘는 심뇌혈관질환 전문의가 참여하게 된다"고 밝혔다.

김나한 기자 kim.naha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