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고려 후기 '내소사 동종' 국보 됐다…신라 금허리띠 보물 지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화재청 국보 1건·보물 5건 지정…"범종사 연구 중요 자료"

앵무새 문양 새긴 청자 병·조선 개국공신 시문집 등도 보물로

연합뉴스

부안 내소사 동종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정교한 장식과 섬세한 기법으로 고려 후기 동종(銅鍾·구리로 만든 종) 가운데 최고로 꼽히는 전북 부안 내소사의 종이 국보가 됐다.

문화재청은 '부안 내소사 동종'을 국보로 지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후 약 60년 만의 국보 승격이다.


내소사 동종은 높이 103㎝, 입지름 67㎝ 크기의 종으로 통일신라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고려의 특징이 드러나는 대표작으로 꼽힌다. 고려 후기 동종 가운데 가장 크다.

종을 만든 내력이 적힌 주종기(鑄鍾記)에 따르면 이 종은 '한중서'라는 이름의 장인이 1222년 약 700근(약 420㎏)의 무게로 만든 것으로 파악된다.

연합뉴스

부안 내소사 동종 세부 부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중서는 13세기 전반부터 중엽까지 활동한 장인으로 고령사 청동 북(1213년), 복천사 청동 북(1238년), 신룡사명 소종(1238년) 등 여러 작품을 남긴 인물로 확인된다.

내소사 동종은 당대 기술력과 예술성을 엿볼 수 있는 기준작으로 여겨진다.

종의 아랫부분과 윗부분에는 덩굴무늬 띠를 둘렀고, 어깨 부분에는 연꽃 문양을 장식했다. 꼭대기 부분의 장식인 용뉴는 마치 공중을 비행하는 듯 역동적인 모습을 띤다.

문화재청은 "한국 범종의 제작 기술과 기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며 "봉안처, 발원자, 제작 장인 등의 내력을 정확히 알 수 있어 학술 가치가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문화재청은 이와 함께 신라 금속공예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와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등 총 5건을 보물로 지정했다.

1924년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발굴 조사에서 나온 금령총 허리띠는 길게 늘어뜨리는 장식 부분인 드리개가 다른 신라 무덤에서 나온 드리개보다 짧은 점이 특징이다.

장식 크기가 작은 점을 고려하면 무덤 주인을 미성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연합뉴스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또 다른 신라 무덤인 서봉총에서 나온 금 허리띠는 화려한 장식이 돋보이는 유물이다. 출토된 장소가 명확하고 신라의 금 허리띠 제작 기술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부처 앞에 깨끗한 물을 담아 바치는 도구로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 음각앵무문 정병(淨甁)'은 고려청자 정병의 변천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다.

몸체 3곳에 날개를 활짝 편 앵무새를 음각으로 새겨 희소한 사례로 꼽힌다.

연합뉴스

청자 음각앵무문 정병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 밖에 조선의 개국공신인 복재(復齋) 정총(1358∼1397)의 유고 시문집인 '복재선생집', 경북 안동 선찰사의 목조석가여래좌상과 불상 안에서 나온 유물도 보물로 지정됐다.

총 2권으로 된 시문집은 '고려사', '고려사절요' 등 역사서를 보완할 수 있는 내용이 수록돼 있어 고려 말∼조선 초 상황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기록유산으로 평가받는다.

선찰사 불상은 광해군의 부인 유씨(장열왕비·1576∼1623)가 왕실의 비빈(妃嬪)이 출가하던 자수사, 인수사에 봉안하기 위해 만든 불상 중 하나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복재선생집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