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행불자 가족 446명 유전자 분석했다...내년에도 접수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광주광역시청사. /광주광역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18민주화운동 시 행방불명된 사람들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추진해온 행불자 유가족의 유전자 확인작업이 내년에도 이어진다.

24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가 전남대 법의학교실과 함께 2001년부터 행불자 유가족에 대한 채혈을 추진한 데 이어, 2019년 5·18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 이후 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서도 유가족의 유전자 분석 사업을 실시, 446명에 대해 유전자를 확인했다.

5·18민주화운동기간인 1980년 5월18일부터 27일까지 행방불명자로 신고 접수된 전체 신고자는 242명이다. 이 가운데 채혈하지 않은 유족은 14가족이다. 유족이 거부하거나 신고자가 사망해 유가족이 없거나, 유가족이 해외에 거주하면서 채혈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이다.

지난 14일 5·18행방불명 피해신고(행불자 박모씨)가 추가 접수돼 유가족의 혈액 채취를 실시했다고 시는 전했다. 정석희 시 5·18민주과장은 “그동안 암매장 제보 현장에서 발굴, 수습된 유해와 유전자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며 “발견된 시신 유골과 DNA 비교 분석을 전문기관에 맡겨 그 결과를 조사활동 보고서에 포함시킬 예정”이라고 말했다.

시는 ‘행불자 가족 찾기 사업’의 지속을 위해 내년 예산을 반영하고, 내달 활동이 종료되는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가지고 있는 DNA 분석 데이터와 시신 유골 등도 받기로 했다.

[권경안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