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美 10월 근원 CPI, 전월과 동일할 듯…증시 반응은 어떨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증시가 랠리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14일(현지시간) 발표될 미국의 지난 10월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그리 긍정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지난 10월 CPI는 14일 오전 8시30분(한국시간 14일 오후 10시30분)에 발표된다.

우선 좋은 소식은 전체 품목을 포괄하는 헤드라인 CPI는 지난 10월에 전년 대비 3.3% 올라 상승률이 전월(9월) 3.7%에 비해 대폭 둔화됐을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이는 지난 10월에 유가가 하락한 영향이 크다.

하지만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지난 10월에 전년 대비 4.1% 올라 상승률이 전월(9월)과 동일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바클레이즈와 BNP파리바, 뱅크 오브 아메리카 증권 등은 지난 10월 근원 CPI가 전년비 4.2% 올라 상승률이 전월에 비해 더 높아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에너지와 주택 관련 항목을 제외한 서비스 가격지표인 이른바 초근원(슈퍼코어) 인플레이션도 지난 10월에 거의 둔화되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스티펠, 니콜라우스 & Co.의 이코노미스트인 로렌 헨더슨은 마켓워치와 인터뷰에서 노동통계국의 CPI 지표를 분석한 결과 슈퍼코어 인플레이션은 지난 9월에 전년비 3.6% 상승했는데 지난 10월에도 전년비 3.5~3.6%의 상승률을 유지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연준(연방준비제도)은 유가 영향을 많이 받는 헤드라인 CPI보다 근원 CPI가 경제 내의 물가 상승 압력을 더 잘 보여준다고 판단한다. 또 주택 관련 항목이 CPI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 주택 관련 지표까지 배제한 슈퍼코어 인플레이션을 경제 근간의 물가 상승 추세를 보여주는 지표로 주시하고 있다.

지난 10일에는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아지고 있다는 걱정스러운 지표도 발표됐다. 미시간대학은 이달 조사 결과 소비자들의 1년 후 기대 인플레이션이 4.4%로 지난 10월의 4.2%보다 높아졌다고 밝혔다. 지난 10월 기대 인플레이션은 지난 9월 3.2%에서 대폭 뛰어오른 것이었다.

이달 조사 결과에서는 5년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 역시 지난 10월 3.0%에서 3.2%로 상승하며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현재 체감하는 인플레이션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기대 인플레이션이 올라가면 실제 인플레이션까지 덩달아 상승할 수 있다.

스티펠, 니콜라우스 & Co.의 핸더슨은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연준의 목표치인 2%를 크게 상회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계속 올라갈 수 있는 위험이 있다"며 "이는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을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우리는 연준의 금리 인상이 종점에 가까워졌다고 생각하지만 여전히 경제 내에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 연준이 금리를 한 번 더 인상하거나 현재의 높은 금리 수준을 시장이 예상하는 것보다 더 오래 유지해야 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바클레이즈는 지난주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의 발언을 인용해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높아지면 연준이 주저 없이 금리를 다시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난 11일 보고서에서 밝혔다.

제퍼슨 부의장은 지난주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상승할 위험이 있는 경우와 같이 어떤 상황에서는 금리를 너무 적게 올려 초래되는 대가가 금리를 너무 많이 올려 초래되는 대가보다 더 클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지난 10월 근원 인플레이션이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해도 이는 이미 시장에 전망치로 공개된 만큼 시장이 크게 개의치 않을 가능성도 있다. 다만 지난 10월 근원 인플레이션이 전망치를 웃돈다면 시장이 주춤할 수 있다.

지난 10일에도 미시간대의 소비자 기대 인플레이션이 올라갔다는 소식이 전해졌음에도 증시는 큰 폭으로 뛰어 올랐다. 함께 발표된 소비자 심리지수가 하락한데 초점을 맞추며 경기가 둔화돼 결국 인플레이션도 하락할 것이란 기대감이 더 컸기 때문이다.

권성희 기자 shkwo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