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조사위, “간첩 이창용·손성모, 5·18과 무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2월 26일 활동 종료까지 직권 과제에 대한 진상 규명에 최선”

5·18 민주화운동 당시 북한군 개입 주장으로 악용된 간첩 이창용·손성모 사건이 5·18과는무관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1일 5·18 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조사위)에 따르면 조사위는 전날 제100차 전원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사실관계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5·18 당시 정보당국, 경찰의 수사·재판 기록을 살피고, 담당 수사관 대면조사와 이창용의 행적 관련 현지 조사를 벌였다.

경향신문

연합뉴스


그 결과 이창용이 5·18과는 무관하게 단선된 간첩망을 복구하고 지하당 구축 임무를 위해 남파된 사실을 확인했다.

1980년 5월 23일 검거 당시 이창용이 자살 시도 실패 후 혀를 깨물어 혼절하는 등 수사가 어려운 상황이었는데도 경찰은 이튿날 ‘광주 시위 선동 남파 간첩’으로 서둘러 발표했다고 조사위는 전했다.

조사위는 5·18이 북한의 선동으로 일어난 사건인 것처럼 국민에게 인식시키는 하나의 사례가 됐다고 규정했다.

손성모 사건은 오월 항쟁 기간 그가 머무른 곳이 무등산 증심사가 아니라 전북 남원 서진암이라는 점, 전국 사찰의 정보를 수집했다는 점을 토대로 5·18과 연관이 없다고 판단했다.

조사위 관계자는 “오는 12월 26일 활동 종료 전까지 직권 과제에 대한 진상 규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상호 선임기자 shlee@kyunghyang.com

▶ 독립언론 경향신문을 응원하신다면 KHANUP!
▶ 나만의 뉴스레터 만들어 보고 싶다면 지금이 기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