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국회의원 이모저모

김어준 방송 출연한 윤미향, 대사관 탓?…”민단 행사 왜 안 알려줬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미향 의원, 조총련 행사 참석·민단 행사 불참 논란

”주일한국대사관이 민단 일정 안 알려줬다”

조선일보

5일 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한 무소속 윤미향 의원. /유튜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국가단체인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 행사에 참석해 논란이 된 무소속 윤미향 의원이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이 주최한 행사에는 참여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주일한국대사관에서 알려주지 않았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5일 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올해가 관동대지진, 즉 간토학살이 일어난 지 100주년”이라며 “숫자를 세어보니 100개 넘는 단체가 각각 실행위원회를 조직해 추모 사업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그는 문제가 된 1일 오후 행사에 관해 “과거사를 해결하기 위한 일본인과 재일동포들, 일본 시민단체들, 일본 국회의원 등이 총망라해서 (추도사업을) 진행했다”며 “그런 재일조선인 희생자 추도사업 실행위원회가 꾸려졌고, 그 안에 조총련 도쿄본부가 포함되어 있었다”고 했다.

윤 의원은 “100여 개에 해당하는 단체들과 일본의 정치인 등이 함께해서 추도사업을 진행했는데, 거기에 민단만 없었다”며 “확인해 보니 주최 측에서 민단과 조총련에 정식으로 제안했으나 민단에서 함께하기를 거절했다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자신은 ‘간토학살 100주기 추도 사업 한국 추진위원회’로부터 참석 제안을 받았으며 조총련으로부터 초대를 받은 것도 아니고, 조총련과 접촉하지도 않았다고 했다.

이 말을 들은 진행자 김어준씨는 “100여 개 단체가 모인 곳에 참석했는데 그것을 빌미로 조총련이 주최한 행사에 단독으로 참석했다고 부풀린 거냐. 그 행사를 딱 찍어서 조총련이 주최하는 행사에 가고 민단의 행사에 안 갔다, 이렇게 프레임을 잡은 것”이라며 “이해했다”고 했다.

윤 의원은 “그런 것”이라고 동조하며 “저는 그날 행사에서 아무 행위도 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 있다가 헌화하고 나왔다”고 했다.

윤 의원은 민단 행사에 참석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제가 이미 (일본에) 간다고 공지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주일한국대사관에서 제게는 (민단) 일정에 대해서 알려주지 않았다”고 했다. 대사관에서 알려주지 않아 민단 행사 일정을 알지 못했다는 것이다.

윤 의원은 “제가 8월 30일 저녁에 도착하니까 국회사무처 통해서 대사관에 ‘나와서 (안내) 좀 해줬으면 좋겠다’고 했기 때문에, 이미 제가 가는 일정을 다 전달했다”며 “그런데도 ‘민단이 행사를 하니까 의원님 오십니까’라는 이야기도 없었다”고 했다. 이어 “단지 한일의원연맹 의원님들 몇 분이 오시는데 그 의전 때문에 바빠서 의원님은 전체 일정을 함께할 수 없다”는 이야기만 들었다고 했다.

시민단체로부터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한 윤 의원은 “저는 당당하다”고 했다. 그는 “저는 조총련을 만나러 갈 계획을 세우지 않았다. 추도사업 자체는 남북교류협력법에서 정한 사전신고 대상이 아니라고 저는 해석하고 있었다”며 “만약 현장에 가서 의도치 않게 (북측을) 만나게 됐다면 사후 신고할 수 있는 제도가 있다”고 했다.

윤 의원은 지난 1일 일본 도쿄에서 조총련이 주최한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추모식에 참석해 논란이 됐다. 조총련은 한국 대법원이 ‘반국가단체’로 판결한 친북(親北) 단체다. 이 행사에서 한 간부는 한국 정부를 ‘남조선 괴뢰 도당’이라고 지칭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대통령은 4일 “자유민주주의 국체(國體)를 흔들고 파괴하려는 반국가 행위에 대해 정치 진영에 관계없이 모든 국민과 함께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도 “조총련 행사 참석은 헌법 위반”이라며 윤 의원을 제명해 달라고 국회 윤리특위에 재소했다. 민단 역시 “한국 대법원이 1970년 ‘반국가단체’로 인정한 조총련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용인하고 그 정책에 맹종하는 실질적인 일본 지부”라며 윤 의원의 의원직 사퇴를 요구했다. 국가정보원은 일본 정보기관과 협력해 사실을 확인하고 있으며 윤 의원의 국가보안법 위반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이가영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