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9 (목)

토스·카뱅·케뱅 잘만 쓰던 잘파 세대 “커서는 시중은행 쓸래요”···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나금융연구소 보고서

“전통은행 신뢰 더 높아”

경향신문

어른/직장인이 되었을 때 이용/거래하고 싶은 은행. 하나금융연구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MZ세대의 다음 세대인 ‘잘파세대(Z세대+알파세대)’는 지금은 인터넷은행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향후 직장인이 되어 소득이 생긴 뒤에는 시중은행과 주로 거래할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하나금융연구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잘파세대의 금융 인식과 거래 특징의 이해‘ 보고서를 발간했다. 잘파세대는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Z세대’와 2010년 초반 이후에 태어난 ‘알파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보고서는 초등 고학년부터 소득활동을 하기 전 대학생까지를 잘파세대로 보고, 이들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잘파세대는 현재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은행으로 인터넷은행을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터넷은행1’의 경우 약 60.7%의 잘파세대가 이용하고 있었고 ‘인터넷은행2’ 또한 52.3%로 절반 이상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중은행을 이용하고 있다는 응답은 은행별로 8.3~27.2% 수준에 그쳤다.

하지만 이들은 향후 ‘어른·직장인이 된 후 이용·거래하고 싶은 은행’으로는 시중은행을 꼽았다. 거래 의향 은행 1위는 KB국민은행으로 25.8%의 지지를 받았다. 이어 다른 시중은행 두 곳도 인터넷은행 보다 많은 표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이 되고 나서도 인터넷은행을 이용하겠다는 응답은 급간별로 초등학생(4~6학년) 19.0%, 중·고등학생 23.4%, 대학생 17.0%에 그쳤다.

또 향후 선호하는 자산 관리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시중은행의 영업점 직원 응대’를 1순위로 꼽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해당 비율은 초등학생 34%, 중·고등학생 25.8%, 대학생 31.7%로, 인터넷은행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겠다는 응답자가 근소하게 많았던 중·고등학생(26.0%)를 제외하고는 시중은행에서 영업점 직원과 직접 상담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잘파세대는 전통은행과 인터넷은행의 역할을 구분해 인식하고 있고, 해당 인식은 거래 의향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 “향후 자산 형성이 시작된 후에는 전통은행에 대한 신뢰가 더 높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잘파세대의 모든 집단은 실제로 금융기관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 1순위로 안정성, 2순위로 신뢰성로 꼽았다.

경향신문

금융회사 선택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 하나금융연구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알파세대인 초등학생과 Z세대인 중고등학생 간 처음 거래를 시작한 금융기관이 어느 곳인지에 따른 영향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중고등학생들은 처음 거래를 시작한 금융기관으로 인터넷은행·유스앱이 46%를 차지했다. 하지만 알파세대가 처음 거래를 시작한 곳은 시중은행이 75%를 차지했다. 부모가 동반하여 거래한 영향으로 시중은행에 대한 각인이 크다는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잘파세대는 본격적 경제활동을 시작하기 전인 만큼 은행의 의미에 대해 돈을 불리거나 빌리는 ‘자산관리’보다 송금, 인출 등 ‘기능적 측면’을 더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알파세대의 경우 은행을 ‘돈을 모으는 곳’이라는 점에 대해 Z세대보다 강하게 인식해 ‘자산 축적’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이런 현상과 관련, 보고서는 알파세대에 대해 “밀레니얼의 자녀이자 베이비부머의 손자녀로, 윗세대의 경제적 지원이 충분하고 신체적‧정신적 성숙이 빨라 이전 세대보다 일찍 금융을 접하며 이미 부모와 함께 금융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있다”며 “Z세대보다 시중은행에 대한 신뢰 및 선호가 높아 선제적 관리가 더 중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권정혁 기자 kjh0516@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