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19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 추모탑 앞에서 특전사 예비역 단체 ‘특전사 동지회’ 회원과 5·18부상자회, 5·18공로자회 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배하고 있다. 1980년 5·18 때 계엄군으로 광주에 투입된 특전사 관련 단체가 5·18 묘지를 참배한 것은 43년 만에 처음이다. /5·18묘지관리사무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99개 시민사회 단체로 구성된 ‘오월 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는 이날 오전 광주 동구 전일빌딩에서 언론간담회를 열고 “진정한 사죄, 용서와 화해의 선행 조건이 무엇인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공개토론회를 5·18 부상자회·공로자회에 제안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월 국가보훈처 예산으로 운영비 등을 지원받는 5·18 공법단체 3곳 중 2곳인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는 특전사 동지회와 5·18민주묘지에 함께 참배했다.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공동선언식’도 개최했다.
그러나 광주민족예술인단체총연합, 광주여성회,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광주전남추모연대 등은 ‘특전사 동지회의 민주묘역 방문을 반대한다’는 취지의 성명을 잇달아 냈다. “진정한 사죄 없는 화합”이라는 것이다. 이들 시민단체는 이 같은 공법단체 움직임에 대응한다며 ‘오월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도 꾸렸다.
이에 대해 부상자회와 공로자회는 “언제까지 ‘진정한 사과’라는 추상적인 언어로 5·18 공법단체와 선량한 광주시민들을 우롱하려고 하느냐”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두 공법단체는 이들 시민단체를 겨냥해 “실제적 노력은 전혀 하지 않고, 자신들의 영향력만 키우기 위해 선전·선동으로 사회단체를 싸움판으로 끌어들인다”라고도 했다.
범 시도민 대책위원회는 공법단체와의 갈등으로 피로를 호소하는 시민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 대화의 장을 통해 갈등을 봉합하겠다는 입장이다. 토론회를 열어 현 갈등 국면을 타개할 방안과, 향후 5·18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해 보자는 것이다.
대책위 관계자는 “단체 간 갈등을 이대로 둬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공개 토론회를 제안했다”며 “5·18 책임 주체들이 토론회를 기회로 만나 오월이 직면한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김명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