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탈탄소 규범 형성에 기여 의지
식량 위기국에 지원 규모 두배 확대 언급
CEPI에 240만달러 규모 공여 약속도
식량 위기국에 지원 규모 두배 확대 언급
CEPI에 240만달러 규모 공여 약속도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일본 히로시마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세션에 참석하고 있다. 2023.5.20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일본 히로시마에 머무르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G7 정상회의 확대회의에서 G7이 주도하는 ‘기후클럽(Climate Club)’에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지난해 G7 의장국이었던 독일의 올라프 숄츠 총리가 주도해 만든 기후클럽은 기후중립을 위한 프로그램을 무역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성됐다.
윤 대통령은 20일 오후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회의 두 번째 세션에서 이같이 밝히며 “글로벌 탈탄소 국제협력에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국제사회에 탈탄소 국제규범을 만드는데, 즉 룰세팅을 하는 데에 능동적으로 기여하겠다는 의지에 따른 것”이라며 “기존의 2050 넷제로(Net Zero)보다 더 야심찬 목표와 이행 계획을 앞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의 이날 발표는 기후변화, 환경 분야에 있어서 기존의 약속을 재확인하고, 향후 구체적인 추가 행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그린 공적개발원조(ODA) 확대도 강조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우리나라는 기후와 녹색성장 분야의 개발 협력에 유리한 유무형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며 “녹색기후기금(GCF)의 제2차 재원 보충에 국제사회가 적극 동참할 것을 촉구할 것”이라고 전했다. GCF는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에 기반해 만든 기구로 인천 송도에 본부가 있다. 또 최 수석은 “우리는 UNFCCC에 따라 지구온난화의 역사적 책임이 없는 개도국이지만 지금까지 (GCF에) 총 3억 달러를 공여했다”며 “정부는 녹색기후기금이 개도국 녹색성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2차 재원 보충도 1차 재원보충 규모인 100억불 이상 확충되도록 국제사회와 협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윤 대통령은 식량·보건·개발·젠더를 주제로 열린 첫 번째 확대세션에선 “이번 회의 참석을 계기로 내년부터 식량 위기국에 대한 지원 규모를 두 배 확대해 매년 10만톤씩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과거 국제사회로부터 식량 원조를 받은 우리나라의 경험을 언급하며 “취약국의 식량 지원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UN 식량원조협약(FAC)에 가입한 2018년부터 예멘, 에티오피아, 케냐, 우간다 등 식량위기국가에 매년 5만톤의 쌀을 원조해오고 있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아프리카에 대한 ‘K-라이스 벨트’ 등 우리나라의 농업·식량 분야 원조 협력 사례를 전하며 내년부터 케냐를 포함해 7개국 이상으로 협력 국가를 지속 확대하겠단 계획도 밝혔다. 식량 위기에 대한 단기적 지원으로는 아세안+3 비상쌀비축제(APTERR)를 확대 발전시키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보건 분야와 관련해서 윤 대통령은 “바이러스와 세균 자체보다도 국가 간 보건 격차가 더 큰 문제”라며 “대한민국이 관련 기술과 정책 실행 경험을 통해 개도국의 보건 역량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백신 치료제 개발연구를 지원하는 국제 공공·민간 기구인 감염병혁신연합(CEPI)에 2400만달러 규모의 공여를 하겠다”고 전했다. CEPI는 노르웨이 정부 등과 빌게이트 재단이 함께 만든 민관협력파트너십 기구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지금까지의 공여액수보다 3배 가까이 늘어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개도국의 전국민건강보장(UHC) 확대를 계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최 수석은 “정부는 경제발전 경험 공유 등으로 개도국에 제도 설계와 시행 노하우를 전수하는 한편 국제의료보건재단을 통해 보건의료 개발 협력사업 등도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