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포드 시티 로이터=뉴스1) 정윤미 기자 = 미국 노스다코타 왓포드시티 외곽에 위치한 한 유정에서 천연가스가 불길을 뿜고 있는 모습.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주도로 마련된 산유국 협의체 OPEC+가 내달 5일 원유 생산량을 결정하는 회의를 앞두고 추가 감산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2022.11.28 ⓒ 로이터=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름값 안정에 힘입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년 만에 4% 초반대에 안착했다. 정부는 하반기 갈수록 물가가 더욱 안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불확실한 요인도 적잖다. 산유국들의 대규모 감산 결정으로 국제유가가 80달러 선을 크게 웃돌았다. 유가 변동성 확대는 인상 결정을 미룬 국내 공공요금 결정에도 변수다. 이 밖에 외식·가공식품 가격 상승률의 고공행진도 여전히 부담이다.
4일 뉴욕상거래소(NYMEX)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주 수입 유종인 두바이유 가격이 3일(현지시간) 기준 배럴당 84.6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 거래일 대비 6.67%(5.30달러) 오른 수준이다. 이는 지난해 11월 22일(86.60달러) 이후 4개월여 만에 가장 높다.
다른 유종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같은 날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은 80.4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 거래일 대비 6.27%(4.75달러) 오른 수준이다. 브렌트유는 84.93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6.31%(5.04달러) 뛰었다.
국제유가가 치솟은 것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OPEC) 주요 산유국 간 협의체 OPEC+(플러스)가 내달부터 하루 116만 배럴 규모의 추가 감산을 결정한 데 따른 것이다. 글로벌 원유 공급량이 쪼그라들 것이란 우려가 가격을 밀어 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이러한 유가 상승 흐름이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에도 적잖은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지난달만 보더라도 전년동월 대비 물가상승률을 4% 초반대에 안착시킨 요인은 석유류 가격의 하락이었다.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3월 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4.2% 상승했다. 지난해 3월(4.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지난달 석유류 가격이 14.2% 하락했다. 석유류 가격 하락폭은 전체물가를 0.76%포인트(p) 끌어내렸다. 지난달 석유류 하락폭은 2020년 11월(-14.9%) 이후 가장 크다.
앞서 정부는 물가상승률이 4월부터 3%대로 내려올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가 크게 상승한 기저효과를 고려해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가 안정될 것이란 분석에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변수도 적잖다. 국제유가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을 비롯해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 서비스 물가 고공행진 등 불확실한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 변동분을 제외한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근원물가)는 지난달 4.8% 상승했다. 전체 물가상승폭(4.2%)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전기료 등 전기·가스·수도 요금 상승률은 28.4%로 오름세가 가파르다. 전체 물가를 끌어올린 기여도는 0.93%p다. 이 밖에 개인서비스 물가 가운데 외식가격이 7.4% 뛰었다. 가공식품 물가도 9.1% 올랐다.
특히 국제유가의 상승세는 국내 전기·가스 요금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정부와 여당은 최근 당정협의회에서 2분기 전기·가스 요금 조정 방안을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다만 유가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한국전력과 가스공사의 누적된 적자를 고려할 때 전기·가스 요금 인상을 무기한 연기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이날 기획재정부는 보도참고 자료를 발표하고 "근원물가가 아직 높은 수준이고 최근 서비스 및 가공식품 가격 오름세, 국제에너지 가격 연동성 등을 고려하면 아직 물가 불확실성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한국은행도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근원물가 상승률도 점차 낮아지겠으나 둔화 속도는 소비자물가에 비해 더딜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물가 경로상에는 국제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 흐름, 공공요금 인상 폭 및 시기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세종=유재희 기자 ryuj@mt.co.kr 세종=유선일 기자 jjsy83@mt.co.kr 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