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진정한 아버지는 여기 묻혀계신 분들”
유족, 전씨 안으며 “진실 밝히고 화해의 길 가자”
전직 대통령 고 전두환씨의 손자 전우원씨가 31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묘지 1묘역 고 김경철 열사 묘역을 참배하면서 입고 있던 외투를 벗어 묘비를 닦고 있다. 2023.3.31 광주/공동취재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죄송합니다. 죄인인 저를 따뜻하게 맞아주셔서 감사합니다.”
30일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를 찾은 고 전두환씨 손자 우원(27)씨는 5·18민주화운동 피해자와 유족 앞에서 무릎 꿇고 흐느꼈다.
이날 유족, 피해자 대표로는 소설 <소년이 온다>의 실제 주인공 문재학(사망 당시 16살)군의 어머니 김길자(84)씨와 총격 부상자 김태수씨, 폭행 피해자 김관씨가 나왔다. 문군은 1980년 5월27일 새벽 옛 전남도청에서 계엄군 총탄에 희생된 소년 시민군이다. 김길자씨는 우원씨를 끌어안으며 전날 밤 쓴 편지글 읽었다.
전직 대통령 고 전두환씨의 손자 전우원 씨가 31일 오전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5·18 유가족에게 큰절을 하며 자신의 할아버지를 대신해 사과하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1일 오전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고 전두환씨의 손자 우원씨가 5·18희생자 문재학군의 어머니 김길자씨의 손을 잡으며 사죄하고 있다.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동안 얼마나 두렵고 힘들었을지, 이런 결정을 하기까지 얼마나 고통이 컸을까 가슴이 아픕니다. 이제부터 차분하게 엉킨 실타래를 풀어가는 심정으로 5·18 진실을 밝히고 화해의 길로 나아갑시다.”
전씨 생전에 5·18에 대해 들었냐는 언론의 질문에 “가족들에게 수차례 물어봤지만 대답을 피하거나 마치 본인들이 피해자인 것처럼 말한 기억이 있다”고 답했다. 우원씨는 임근단(93)씨 등 5·18 당시 자녀를 잃은 유족에게 엎드려 사죄하기도 했다.
31일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고 전두환씨의 손자 우원씨가 헌화 뒤 묵념하고 있다.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 전두환씨의 손자 우원씨가 31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를 방문해 행방불명자 묘역 안내석을 입고 있던 검정색 외투를 벗어 닦으며 희생자를 추모하고 있다.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5·18기념센터에서 사죄 회견을 마친 우원씨는 센터와 인접한 5·18기념공원 내 추모승화공간으로 이동했다. 이곳에는 5·18유공자 4천여명이 명단이 벽에 새겨져 있다. 우원씨는 이후 5·18재단이 마련한 차를 타고 국립5·18민주묘지로 향했다.
전씨 일가의 5·18묘지 방문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원씨는 방명록에 “저라는 어둠을 빛으로 밝혀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민주주의의 진정한 아버지는 여기에 묻혀 계신 모든 분이십니다”라고 적었다.
전직 대통령 고 전두환씨의 손자 전우원 씨가 31일 오전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5·18 유가족에게 자신의 할아버지를 대신해 사과하고 있다. 2023.3.31 광주/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어 전재수(당시 11살, 2-22)군 묘역을 찾았다. 전군은 1980년 5월24일 집 앞 야산에서 놀다가 11공수여단이 쏜 총탄에 숨졌다. 마지막 참배 장소는 행방불명자묘역(10묘역)이었다. 이곳에는 전체 실종자 78명 중 69명의 가묘가 있다.
김범태 묘지관리소장의 설명을 들은 우원씨는 숙연한 표정으로 고개를 끄덕이며 입고 있던 검은 외투를 벗어 들고 묘비를 닦은 뒤 묵념했다.
참배를 마친 우원씨는 “따뜻하게 맞아주셔서 감사하다. (저희 가족의) 용서를 구할 수 없다는 것을 알지만 계속 사죄드리겠다”고 소회를 밝혔다. 우원씨는 1일까지 광주에 머물며 5·18 최후 항쟁지인 옛 전남도청, 계엄군의 헬기사격 총탄 흔적이 있는 전일빌딩245 등을 방문한 뒤 공식 일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고 전두환씨의 손자 우원씨가 31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 방명록에 남긴 글.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주 69시간? 104년 전 세계노동기구는 ‘48시간’을 제시했다
▶▶꽃피는 봄,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마음 따뜻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